EZ EZViwe

남북농업협력 지원사업에서 협력사업으로 이행 바람직

뉴스관리자 편집장 기자  2001.03.31 11:46:41

기사프린트

남북 농업협력사업은 사업규모 측면에서 양측 모두에게 부담이 적은 사업으로부터 시작해 시행착오와 성과를 보아가며 대규모 협력사업으로 나가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달 28일 오후 1시 30분 농협중앙회 서울지역본부(구 축협청사) 2층 청사에서 통일농업포럼(상임대표 이길재) 주최로 열린 "남북 농업협력 심포지엄"에서 김운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북한농업연구센터장이 "남북 농업교류·협력의 현재와 미래"라는 주제를 통해 주장했다.
김박사는 북한전체의 식량사정과 경제사정, 협력상대방의 사정에 따라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시작해 차츰 상호주의가 구현되는 본격적인 협력사업으로 이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김박사는 특히 남북한 농업지원 및 협력사업의 정책적 목표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은 긴급한 식량난 해소, 농업생산 향상, 남북한 신뢰구축 등에 대한 기여도 등이며 북한의 수용가능성, 우리 경제의 부담, 정치적 위험부담의 크기도 고려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박사는 이어 전체적으로 평가해 볼 때 농업지원 및 농업기술교류협력사업이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며 북한이 수용가능한 사업으로 이모작 지원사업과 감자농사 지원사업, 양잠지원사업, 기타분야 협력사업이 있다고 설명했다.
김박사는 또 이같은 지원사업은 북한지역의 특성을 고려해 추진되어야 하며 그 예로 양강도의 경우 감자농사 시범사업과 고랭지 채소단지, 호프시범단지가 적합하며 자강도는 잠업과 양봉업 시범단지, 평양근교지역은 축산시범단지, 황해도는 과수, 인삼, 이모작 시범단지로 추진하면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신상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