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한우고급육 생산기술

뉴스관리자 편집장 기자  2001.04.02 11:34:44

기사프린트

고급육 생산기술은 송아지때부터 배합사료를 무제한급여하여 단기간 비육하여 출하하는 방법을 지양하고, 소의 성장 단계별 산육특성에 따라 장기비육하여 출하하는 방법이다.
장기 비육하기 위해서는 우선 육성기(생후 12개월령까지)에 배합사료 제한급여, 양질조사료 충분히 급여하여 뼈대와 소화기관을 튼튼하게 키운다.
비육전기(생후 18개월령까지)에는 배합사료를 조금씩 증량급여하여 근육을 발달시키고 비육후기(출하시까지)에 고열량사료를 무제한급여하여 근육내지방을 잘 침착시켜 육질 을 개선시킨다.
마지막으로 비육후기에 배합사료 무제한급여로 근내지방도를 높여, 생후 24개월령 이후, 체중 550kg 이상에서 출하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와 함께 비육밑소 선택이 중요한데 큰소비육은 단기간 비육하게 됨으로 연령에 걸맞는 골격과 체형을 갖춘 다소 야윈소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육성우 비육은 1년이상 장기간 비육하게 됨으로 식욕이 왕성하고 조숙, 조비할 수 있는 자질을 갖춘 소를 선택한다.
고급육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거세가 필수적인데 그 시기는 자가생산 송아지는 생후 2∼3개월령에 거세할 수 있으나, 구입우는 이유와 수송스트레스가 안정된 생후 3∼4개월령에 거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거세함으로써 비거세우에 비해 발육이 떨어지므로 비육기간은 연장되나, 육질이 크게 향상되어 고급육을 생산할 수 있다.
생산된 비육우를 출할때는 출하적기를 결정해야 하는데 보통 소값이 하락하면 출하체중이 낮아지고, 반대로 소값이 상승하면 출하체중이 증가하는 경향있다.
출하시기는 사육자의 기술수준, 사료비 등의 경영비, 시장가격 동향 및 기타 출하여건 등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하지만 높은 등급을 받기 위한 출하적기는 근내지방도가 24개월령까지 직선적으로 증가함으로 거세우의 출하적기는 24개월령, 체중 550∼600kg정도가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육질 1등급 출현율이 비거세우가 28%인데 반해 거세우는 87%이른다.
축산기술연구소 남원지소 이명식 연구사 (063-634-0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