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의 돼지콜레라 청정화 대책이 혼선을 빚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앞으로의 행보에 귀추가 주목된다. 강원도는 지난 1월부터 강원도 돼지콜레라 청정지역으로 만들기 위해 백신접종을 중단하고 있으나 일부 농가에서는 아직도 백신접종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강원도의 관계자는 콜레라 백신을 전량 회수한다는 방침으로 회수를 하고 있지만 일부 타지역에서 유입되는 물량이 있어 통제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호소하고 있다. 또한 백신접종이 포착됨에도 불구하고 접종농가에 대한 제제조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최근에는 구제역 재발방지를 위해 방역활동에 인원이 동원되면서 인원부족 사태까지 겹쳐 더욱 어렵다는 입장이다. 강원도는 이에 도내 백신접종 실태를 파악중에 있으며 각 시군별 조사를 실시해 종합적이 보완책을 마련하고 있는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일부 양돈농가의 경우 강원도의 콜레라 청정화 대책이 미흡한 부분이 많이 있다며 보상대책이나 외부돼지의 유입 방지 대책 등이 마련돼야 함에도 불구하고 무조건 중단함에 따라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강원도의 한 양돈농가는 『지난 1월 백신접종을 중단을 선언한 후 백신을 전량 회수해 가고 접종중지 각서까지 받아가 울려겨자 먹기 식으로 중단하고 있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또 일부 종돈장의 경우는 도에서 지급되는 백신과 상관없이 개인적으로 구입해 백신접종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종돈장의 한관계자는 『종돈장의 경우는 도내에 전량 판매할 수 없고 외부에도 판매해야 하나 백신을 중단할 경우 판로가 막혀 버린다』며 『외부에서 유입되는 종돈과 강원도내 종돈이 서로 유통되고 있는 상황에서 백신접종은 의미가 없다』고 토로했다. 양돈협회 강원도협의회 박정유 회장은 『도에서 대책마련없이 중단한 것은 전시행정용 이다』라며 『종돈의 경우 거의 대부분 외부에서 들여오고 있는 강원도는 인근 지역과 협조체계를 구축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독자적으로 중단한 것은 잘못됐다』지적했다. 이희영 lhyoung@chuksan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