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돈산업 안정과 발전을 위해서는 자조금 조성을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다시 한번 강조됐다. 지난달 30일 대한양돈협회(회장 김건태)는 양돈자조금관리운영위원회를 구성하고 자조금 조성과 운영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이날 충남대 박종수 교수는 『자조금 조성은 양돈업이 올바로 서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라며 『자조금 조성을 통해 생산비를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수입육과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교수는 미국은 자조금 조성을 통해 소비촉진과 연구사업, 생산자 교육, 소비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양돈산업 안정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고 강조하고 우리 나라도 하루빨리 자조금법을 입법화를 통과시켜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박 교수는 낙농육우협회에 추진하고 있는 낙농자조금의 경우도 현재는 임의자조금으로 향후 상당히 고전할 것이라고 지적하고 자조금법을 하루빨리 입법화 시켜 의무자조금으로 자조금 사업을 실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수년간 자조금법을 추진하려고 노력했지만 아직도 입법화가 안된 상태이지만 올해가 입법을 추진할 수 있는 가장 적기일 것이라며 협회는 자조금법 입법을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한편 김건태 회장은 『자조금법 입법과 자조금 조성도 중요하지만 조성된 자조금을 운영하는데 있어 공명정대하고 투명하게 운영돼야 한다고 강조하고 이에 대한 방안과 원칙이 정해져야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밖에도 부산경남양돈조합 한영섭 조합장은 자조금관리운영위원회에 소비자 대표들도 참여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소비홍보가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도드람 유통의 이범호 사장은 양돈자조금은 낙농자조금과 그 성격이 다르다며 자칫 소비홍보가 소비문화를 더욱 왜곡시킬 우려가 있다면 소비홍보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희영 lhyoung@chuksan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