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콜레라 백신접종 중단을 3개월 앞둔 가운데 약 71%가량의 농가가 접종 중단을 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5일 축산회관 회의실에서 열린 돼지콜레라 예방접종 중단을 위한 공청회에서 (사)양돈연구회의 예재길 회장은 연구회에서 실시중인 「돼지콜레라 청정화 및 예방접종 중지 방법 연구」의 설문조사 중간결과 이같이 나왔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2월 농림부에서 실시한 설문조사결과에서 백신접종 중단 찬성이 54.6%이었던 것에 비해 많이 향상된 수치이다. 예 회장은 콜레라 백신 중단을 반대하는 의견은 21%였으며 지금 당장 중단해도 괜찮다고 자신감을 보인 농가도 16.5%나 된다고 밝혔다. 또한 백신 접종 중단 후에는 콜레라 발생시 살처분 정책을 펴야 한다는 의견이 65%였으며 예방접종을 다시 실시해야 한다는 의견이 25%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콜레라 발생시 보상대책안을 연구중인 (주)바이오 맥의 신경호 박사는 『콜레라 백신 중단 후 충분한 대책 마련 없이 농장에 경제적 손실을 준다면 75%가 찬성한 결과는 상당히 틀려질 것이라며 충분한 보상대책이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농가가 살처분 이후 재입식 자금도 보조해 줘야 하며 재입식 자금외에도 감가상각비용과 생계유지 차원에서 수익감소분에 대한 자금도 지원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예 회장은 「돼지콜레라 청정화 및 예방접종 중지 방법 연구」의 최종결과는 8월 17일경에 나올 것이라고 밝혔다.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의 안수환 박사는 지난 1월 콜레라백신 접종을 중단한 강원도의 경우 시군별로 차이가 많지만 1월말 97.5%였던 항체 양성율이 4월말에는 70.3%로 떨어졌으며 5월말에는 52.9%로 하락했다며 강원도의 사례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10월 백신접종 중단에 많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10월 중단 계획에 맞춰 「돼지콜레라 예방접종 중단 대비 위험도 평가시험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 밖에도 콜레라 발생시 살처분 후 매몰 장소 마련 및 콜레라 백신 수급과 보관 방법 등에 대한 논의도 있었다. 이희영 lhyoung@chuksan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