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수의과학검역원 부산지원의 이전문제가 부산시로부터 부산산업공단부지를 등가교환 형식으로 이전해 줄 것을 요청하는 공문을 보내옴에 따라 또다시 불거지고 있다. 국립수의과학검역원(원장 김옥경)에 따르면 부산시가 지난달 28일 부산지원 이전 후보지로 부산시 강서구 소재 부산과학산업단지내 6만4천평을 확정하고 이를 공문으로 보내왔다고 밝혔다. 검역원은 그러나 부산시가 제시한 지역이 부산지원 이전의 조건을 충족했다 하더라도 공동조사에는 응하겠지만 검역시설과 계류시설 등을 신축해야 하는 만큼 문제가 모두 끝난 것이 아니라는 입장을 보이며 이전이 불가능 하다는 뜻을 시사했다. 검역원은 그동안 부산시로부터 검역원 부산지원 이전을 요청 받을 때마다 현재의 위치가 주거지역과 떨어져 있어 민원을 야기할 우려가 없으며 방역상 외부와 차단격리된 지역이라는 점을 들어 이전 불가론을 펴왔다. 특히 부산시가 제시한 대토(현재 부산지원 부지와 이전할 부지를 등가교환 형식으로 교환) 조건에도 방역상 외부와 차단되면서도 이전지 인근에 축산농가와 주택등으로 인한 민원을 야기하지 않고 공항과 항만과의 검역물 이송이 편리해야 하며 부지규모가 계류시설 등을 고려할 경우 최소 5만평 이상은 되어야 한다며 이같은 조건을 충족할 만한 부지가 없어 현 위치가 가장 적절하다며 이전 불가론을 고수해 왔다. 검역원은 특히 부산지원의 이전 문제는 이미 지난 95년 부산시장과 최인기 농림부 장관간의 부산지원 외곽의 산책로 개설로 일단락 된 문제라며 더 이상 거론하지 않을려는 분위기다. 특히 검역시설과 공원이 공존하는 형태로 산책로를 개설할 당시 이를 조건으로 더 이상 검역원 부산지원의 이전문제는 제기하지 않기로 합의하고 이를 문서로 남겼다는 것이 검역원의 입장이다. 검역원 부산지원의 이전문제는 부산시가 지난 72년부터 계속 제기돼 왔던 것으로 부산시가 이 지역을 공원화 하기 위해 그동안 수차례에 걸쳐 이전을 요구해 온 바 있다. 검역원 부산지원은 우리나라에 대한 일본의 강제 점령기에 일본으로 소를 수출하기 위해 설치한 우역혈청소가 전신으로 전면이 바다에 인접해 있고 주변에 민가가 없어 민원을 야기할 염려가 없으며 차단방역이 용이한 것으로 확인됐다. 김옥경 국립수의과학검역원장은 "부산시민을 위해 공원을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보다는 4천6백만 국민의 건강을 우선시 해야 하며 축산농가 보호차원에서도 이전은 불가능 하다"며 "공문이 접수되면 공동조사에는 응하겠지만 이 문제는 이미 지난 최인기 농림부 장관 시절 산책로 개설 조건으로 더 이상 이전문제는 거론하지 않기로 문서로 합의한바 있다"고 잘라 말했다.<신상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