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낙농가와 관련전문가들사이 젖소의 ERCR(수태율)과 PL(생산수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지는 ERCR과 PL이 무엇이고 누가 분석하며 어떠한 자료들이 이용되며 분석되는지를 살펴본다. 또 공태기간 단축 등이 낙농가에게 경제적인 이익을 어떻게 주는지를 (주)덕창농축산 임병순이사로부터 원고를 받아 독자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한다···<편집자 주> ERCR, PL이란? 1.ERCR(Estimated Relative Conception Rate) □ ERCR이란 무엇인가? ·ERCR = 정액의 수정능력 또는 추정 수태(임신)율 ERCR을 한마디로 표현하면 수태율(Fertility)을 의미한다. 수태율이 "+"로 높은 정액을 선정하여 쓴다면 공태기간 단축, 분만간격 단축, 수정료 감소는 물론 가장 중요한 것은 이윤의 극대화이다. 미국의 AI센터별 수태율을 보면, CRI(1HO)가 +1.3%로 가장 높고, 다음이 S사로 +0.7, AC사 +0.2, SS사 +0.1, AB사 -0.2 그리고 AG사가 -1.1%로 조사되어 보고되고 있다. □ ERCR은 누가 분석하는가? ·분석은 ·DRMS(Dairy Records Management Systems) ·북 캐롤라이나 주립대학에서 ·대학 연구실에서 독자적으로 DRMS를 가지고 ERCR을 분석 ERCR은 미국 북 캐롤라이나 주립대학에서 독자적으로 낙농 관리 시스템 기록들을 가지고 분석하여 일반에 공표하고 있다. □ 어떤 자료가 이용되는가? ·DHI자료들 : ·DRMS(남동부와 중부에 위치한 주) ·농업자원(북부지역) ·농업분석실(캘리포니아) ·펜실베니아 DHIA자료들이 이용되고 있다. ·자료들에는 1,500,000 마리 이상의 인공수정 자료 (HOLSTEIN, JERSEY)가 이용되고 있다. □ 어떻게 분석되어지나? ·Animal Model, PTA와 같은 방법으로 분석되며, ·이용되는 자료들; ·비유초기의 산유량 ·산차 ·비유기 ·임신개월수 ·우군 ·년도 ·종모우의 생년 ·종모우와 우군과의 관계 □ ERCR 점수는? ·ERCR 평균 : 0% ·동일 수자의 +, - 점수 ·ERCR점수의 범위 : -9%∼+5% ·92%의 종모우는 -3%와 +3% 범위 내에 분포되어 있다. □ ERCR 점수의 의미는? ·ERCR은 활용 종모우들간의 비교로써 종모우의 수태 율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예로 ERCR +5%의 종모우는; 첫 번 수정으로 종모우의 평균값보다 송아지를 생산하는 것이 타 종모우에 비하여 5% 높음을 의미하며 ·송아지 생산 = 꼭 임신만은 아니다 □ 낙농가에게 경제적 이익은? ·ERCR +1%는 2US$의 이익이 발생함을 대학 연구실의 보고가 있다. 즉, +5%의 수태율을 보이는 종모우의 정액으로 수정하여 수태가 되었다면 10US$의 추가 이익이 발생함을 보고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NM(Net Merit)다음으로 중요시하고 있는 항목임을 우리 농가도 알아야 하겠다. □ ERCR의 정확도 ·생산이나 체형의 PTA’s 와 같으며, 반복율의 계산은 - 1,000번의 수정자료 : 80%의 반복율 - 2,000번의 수정자료 : 90%의 반복율을 나타냄 ·ERCR 스코어를 갖기 위하여는 최소 300번 이상의 수정기록이 있어야 가능 ·ERCR은 1년에 2회 계산되어져 발표 됨 2. PL(Productive Life) □ PL은 무엇인가? ;PL은 생산수명을 의미함. ·과거 - 우군수명 - 지지력 - 내구성 - 장수성을 참고하여 분석하였으나 ·현재 - 오로지 젖소가 분만 후 우유를 생산하여 낙농가에 게 경제적으로 이익을 주는 개월 수를 나타냄. □ 도태이유(무의식적) 도태의 2/3는 ·번식장애 40% ·유 방 염 15% ·질 병 10% ·유방상처 10% ·유방불량 5% ·사 고 5%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 어떻게 계산되는가? ·3가지 요인 - 기대치 - 부모의 평균 - 실제 도태 데이터가 이용되고 있다. ·Young Bulls - 부모평균 + 기대치(낮은 반복율) ·늙은 종모우 - 실제 도태 데이터(높은 반복율) ·기대치 - PTAM - UDC - PTAF - FLC - PTAP - Size - SCS □ 어떻게 이용되나? ·생애 Net Merit와 함께 - Milk - UDC - Fat - FLC - Protein - Size - SCS - PL ·TPI와 함께 - Protein - FLC - Fat - PL - PTAT - SCS - UDC ·PL과 PTAT는 다른 형질임을 잊어서는 안된다. 젖소에서 공태기간 단축의 필요성 및 방법 * 첫 번째 수정에서 수태되지 않고 21일이 경과한 다음주기에서 수정을 시켰다면 사료비를 포함한 사양관리비, 산유량 감소 효과 등을 종합하여보면 약 20만원의 손실을 가져온다는 보고가 있음을 볼 때 수태율 향상을 위한 필요 조처가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이렇듯 수태율 향상을 위해서는 젖소의 컨디션 향상을 위한 사양관리는 물론 제일 중요한 것이 수태율(ERCR)이 높은 정액을 선별하여 선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만약 인공수정 실시 후 수태되지 않으므로서 재발이 몇번 계속 된다면 그 동안의 손실은 물론 고가의 정액 또한 재발되는 수대로 허비됨을 간과해서는 아니된다. *ERCR은 Young bull에서는 그 수치를 가질 수 없으며, 공용 종모우 중에서도 앞으로는 ERCR이 높은 정액을 고르는 안목이 있어야 되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