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기자재 산업의 발전을 위한 정책방향 ▲최염순 사무관(농림부 축산경영과)=농업 및 축산 기계화는 지난 90년대부터 농업구조조정을 통한 농업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농업·축산 기계화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했다. 특히 94년부터 축산기자재 부가가치세 영세율 적용 및 축산기자재 생산시설에 대한 자금지원으로 품질향상과 제품개발을 촉진시키고 있다. 그러나 축산기계화시책이 물량공급에 치중하다보니 양적으로는 증가했으나 기계이용율 제고 등 질적 수준이 낮으며 축산기자재는 축종 및 기능별로 품목이 다양해 제품의 대량생산과 투자의 한계성이 있으며 영세 규모의 업체가 난립해 있으며 사료급여 및 착유, 분뇨처리 등에 대한 기계화가 미흡하며 기계 개발에 필요한 연구의 부족 등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이런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서 우선 품목중심의 전문업체를 육성하는 한편 축산기자재의 표준화 및 규격화를 촉진시킬 방침이다. 또한 양질의 저렴한 기자재 공급을 통한 양축농가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축산기자재 사후관리를 위한 기자재 업체들의 자율적인 컨소시엄 구축을 유도하고 조사료 생산장비의 공동이용을 촉진시키고 중고농기계이 이용을 활성화 시켜 축산기자재의 이용율을 높이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다. ■축산기자재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술개발 추진 및 업계의 대처방안 ▲이덕수 연구관(축산기술연구소 축산시설환경과)=축산기자재 산업은 농민을 대상으로 하는 특정수요자 산업으로 구매력이 약하고 시설 및 기계이용을 위한 기술수준이 미흡하다. 축산기자재 산업의 문제점으로는 시설 및 기계개발에 대한 투자의 미흡과 표준화 미비, 유통 및 사후관리가 미흡하며 기술이나 전문인력의 부족일 것이다. 이러한 축산기자재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우선 양축가들이 손쉽게 설치 및 운영이 가능하도록 규격화, 조립화 및 표준화 제품이 생산돼야 하며 업체들은 생산품목을 전문화시켜 자신 있게 상표를 내걸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정부는 축산기자재 생산용 지원자금의 규모를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생산자단체 및 지도 관련 국가기관을 중심으로 축산기자재 상설 전시장을 설치 운영함으로써 양축가들이 농가에 적합한 적정시설과 기자재를 비교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해야 한다. 이와 함께 부품 및 자재의 공동구매와 동일 공장의 경우 공동제작 공장을 설립해 단체로 규격화 제품을 이용함으로써 제작시설에 대한 투자비의 절감과 가동률을 높여 생산비 절감을 유도해 나가야 할 것이다. ■축산기자재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해외시장 개척 및 수출촉진방향 ▲장동일 교수(충남대 농기계공학과)=IMF이후 내수시장의 위축과 구제역, 광우병의 여파로 인해 축산업 전체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축산기자재 산업도 예외는 아니다. 이러한 내수시장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해외시장의 개척과 수출로서 돌파구를 찾아야 할 것이다. 우선 수출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국내 축산기자재업체들이 대부분으로 수출촉진을 위한 자금의 지원을 확대해야 하며 농림부내에 담당 부서를 만들 필요가 있다. 또한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의 축산기자재 분야의 지원과 수출보험의 적용한도를 확대하는 한편 수출경쟁력 확보를 위한 품질향상과 국제표준의 도입과 함께 산·학·연 협력체제를 구축함으로써 새로운 기술의 연구개발에 집중적 투자가 있어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해외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서는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중소기업진흥공단, 중소기업수출지원센터 등 수출과 관련된 지원기관들을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해외 축산관련 박람회에 참가를 적극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이밖에도 인터넷을 통한 수출과 수출 대상국에 상설전시장을 설치하는 한편 해외시장 진출 전략 기술세미나 및 워크숍을 개최할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