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로 인해 축사가 침수 당하는 등 피해가 발생함에 따라 국립수의과학검역원(원장 김옥경)은 수해 발생시 긴급 위생방역요령을 홍보하고 나섰다.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은 수해 발생시 소독 등 철저한 위생관리를 해야 하며 부드러운 조사료 등을 공급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국립수의과학검역에 따르면 농장 및 축사주위의 배수관리 철저히 해야 하며 죽은 가축은 즉시 매몰 또는 소각 처리하도 동시에 농장 및 축사 내·외부를 깨끗이 청소한 후 소독실시해야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또 침수된 사료급이·급수시설은 청소를 철저히 해야 하며 음수는 소독을 실시하고 철저한 차단방역, 위생관리를 통해 각종 예방접종을 철저히 해야만 질별피해를 막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사양관리 측면에서도 검역원은 피해농장에서는 부드러운 조사료 및 양질의 사료를 공급해 가축을 안정시켜야 하며 축사 유실·침수에 의한 방풍 및 보온시설 파손 등으로 호흡기 및 설사병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만큼 보온조치와 항생제를 투여해 2차 감염을 막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침수된 가축은 피부병 예방을 위해 축체 세척 및 소독을 실시하고 파리·모기 등의 구제와 구충제 투여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농장에서 질병에 감염된 환축이 발견될 경우 수해지역 농가에서는 주요전염병 감염축으로 의심될 경우나 발생한 경우 관할시·군 및 가축방역기관에 신속한 신고하고 농장소독을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고를 받은 가축방역기관에서는 신속한 병성감정 실시 및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개업수의사 등에게 안내해주고 수해지역에 대한 가축질병 예찰활동 및 방역지도를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소 질병관리 요령 수해 발생시 유방염 예방관리 요령과 관련해 검역원은 갑작스런 사료급여 중지로 인한 지방간이 발생할 우려가 높다고 이를 유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사료급여 중지로 체내 에너지공급을 위한 유리지방산의 과잉생산이 우려되며 일부는 간세포에 축적되어 지방간을 형성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체내 면역저하 및 오염물 섭취에 따른 세균성 설사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데 이는 사료급여 중지 → 제1위내 정상미생물의 균형파괴 및 반추위운동억제 → 오염물 섭취에 위한 세균성 설사 발생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착유장비 유실 및 침수된 농장의 젖소는 위생적으로 손 착유 실시, 유두 침지소독과 유방염 예방 및 치료제 주입해야 하고 경결된 유방은 소염제를 사용하거나 맛사지 등을 통해 유방을 풀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아미카신, 겐타마이신, 엔로플록사신 등으로 유방염 치료 실시하고 볏짚 등 조사료와 배합사료에 대한 침수를 방지하며 축사바닥의 깔짚 교체를 자주하면서 통풍 유지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일반적인 소 질병 예방관리 요령에 대해 검역원은 갑작스런 사양환경변화 및 스트레스에 의한 항병력 저하 대책을 마련해야 하며 충분한 초유공급 및 신생송아지에 대해 철저하게 사양관리를 해야 하며 착유전이나 수유전에 반드시 유방 및 유두침지 소독 실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축사붕괴 및 일교차 등에 대비한 방풍 및 보온관리로 호흡기 및 설사병 예방관리를 강화하고 합포체성폐렴, 파라인플루엔자, 전염성비기관염, 코로나바이러스 및 소 바이러스성설사(BVD) 등 주요전염병에 대한 예방접종관리를 강화해 줄 것을 당부했다. 동시에 홍수에 따른 심부 토양 유출에 의해 발생이 우려되는 토양 유래성 질병(탄저·기종저), 장독혈증 등에 대한 예방관리 및 소독을 철저히 해 줄것과 모기매개성질병 예방을 위한 모기 구제와 고인물을 제거해 달라고 말했다. □돼지 질병관리 요령 돼지 질병 예방관리에 대해 검역원은 창상에 따른 토양유래성 질병인 돈단독과 클로스트리디움증 등과 같은 질병 발생이 우려되는 만큼 예방접종을 철저해 해 주고 특히 호흡기질병 증가가 우려되는 만큼 밀사를 피하고 환기를 개선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돼지콜레라, 흉막폐렴, 전염성위장염, 유행성설사병 및 로타바이러스감염증 등에 대한 예방접종을 철저히 해 줄 것과 충분한 초유공급 및 보온관리 철저, 무유증 예방관리를 강화하고 전해질 제제를 공급해야 하며 일본뇌염 예방을 위한 축사내외 및 주변 웅덩이 모기구제도 철저해 해 달라고 설명했다. □닭 질병 관리 요령 닭 질병 예방관리 요령에 대해 검역원은 계사내로 유입된 토사제거, 계사 및 바닥 세척·건조 및 철저히 소독하고 침수로 인한 폐사축은 신속하게 매몰 또는 소각을 실시해 이로 인한 2차 피해를 막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계사내 과도한 수분 제거를 위한 깔집 교환, 계사 환기량 증가, 유해가스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한 분동 등 평당 사육수수를 최소화해야 하며 수질 오염에 의한 대장균성 질병을 방지하기 위해 음수 및 주위 환경에 대한 소독을 강화해 달라고 주장했다. 오염된 물을 먹었을 경우 세균성 설사병 예방을 위한 광범위항생제 및 항균제를 투여해야 하며 수해에 따른 다양한 스트레스 발생으로 발병이 높아지는 가금인프루엔자, 가금티푸스 등에 대한 사전예방 활동으로 비타민 C 등 면역 증강제 및 항스트레스제 투여해 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수해 뒤 급격히 증가하는 모기 혹은 유충의 번식을 억제하기 위하여 연막소독 및 계사 주위 웅덩이 소독으로 류코싸이토준병 등의 모기매개성 질병의 조기에 차단해야 하며 수해 뒤 일정기간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급박하지 않은 백신접종, 사료교체 등은 당분간 연기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설명했다.<신상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