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 부루세라병 발생이 증가함에 따라 현행 살처분 정책에다 희망농가에 한해 예방접종도 허용함으로써 살처분과 예방접종이 동시에 이뤄지는 방향으로 부루세라병 방역 정책이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농림부는 부루세라병이 확산 일로에 있자 부루세라병 방역 정책을 이같은 방향으로 신중히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농림부는 살처분이냐 예방접종이냐를 놓고 공청회를 열어 업계의 여론을 충분히 수렴, 정책에 반영할 계획이다. 농림부는 부루세라병 방역을 위해 검진후 양성축 살처분, 동거축 도태 권고를 하고 있는 현행제도를 그대로 유지하는 안과 현행제도에다 희망농가에 한해 예방접종을 허용하는 안도 고려하고 있다. 여기에다 전국의 젖소에 대한 일제 검진을 통해 부루세라병 발생농장의 전두수 살처분 조치도 안 중의 하나로 염두에 두고 있다. 이 3가지 안중 살처분 정책사업과 예방접종 사업을 병행 추진하는 안이 채택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98년 이전 농림부의 부루세라 방역정책은 검진후 양성축 살처분이었던 것이 그 이후 부루세라 예방접종 검진 및 살처분 정책사업과 병행추진하는 과정에서 예방접종으로 인한 유산 등 부작용이 발생함에 따라 99년 이후 예방접종을 전면 중단하고, 검진 및 살처분 정책으로 재전환했다. 이같이 살처분 정책만 추진함에 따라 부루세라병이 지난해에는 1천2백49두에 발생, 예방접종과 살처분을 동시에 실시했던 98년의 9백88두에 비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김영란 yrkim@chuksan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