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현 회장(음성한우회)=연간 남은 음식물로 버려지는 금액이 4조원에 이른다고 하는데 반추가축에는 왜 먹일 수 없는 것이며 내년부터는 우수축 출하 포상금이 거세장려금으로 전환된다는데 그러면 거세장려금 20만원에 우수축 출하 포상금 10만원, 15만원이 더해지는 것인지 아니면 포상금만 없어지는 것인가? △노경상 국장(농림부 축산국)=남은 음식물을 이용한 사료의 경우 반추가축 급여를 금지시켰다. 그러나 양돈과 양계의 경우에는 급여가 가능하다. 반추가축에 남은 음식물 사료 급여를 금지시킨 것은 최근 영국에서 발생한 광우병의 영향과 소비자들이 믿을 수 있는 안전한 축산물 생산의 일환으로 안전성에 만전을 기하기 위한 조치이다. 또 그 동안 지급해 오던 우수축 포상금의 경우는 출하자에게 지급해 왔는데 이럴 경우 농가가 아닌 중간 유통업자에게 지급되는 예도 있었다. 그러나 내년부터 시행할 거세 장려금은 농가에게만 지급 가능할 것으로 본다. △김택열 대표(풍림환경특장)=우리 나라는 사계절이 뚜렷해 축분처리를 액비화 할 경우 살포시기 및 살포장소가 가장 큰 문제이다. 특히 살포 시기의 선택이 어려운데 대부분 겨울철에 많이 살포하게 되는데 겨울철에는 표면이 얼어붙어 하천오염 등의 우려가 있다. 또 축분을 이용한 유기질 비료의 경우 미완숙 퇴비가 많이 유통되고 있어 경종농가들의 불신을 사고 있다. 이에 대한 검증체계가 마련돼야 할 것이다. △노경상 국장=축산에서 분뇨처리가 가장 큰 문제이다. 정부에서는 축산분뇨 처리에 대해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상당히 어려운 문제다. 우선 액비화의 경우 액비 살포 장소 확보가 어렵고 살포시 냄새로 인한 민원제기 등으로 인해 자기소유의 경작지에도 살포를 못하는 경우도 있다. 액비화의 경우 경종농가와의 연계 필요성이 다시 한번 강조되며 경종농가와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충분히 부숙시켜 퇴비로서의 가치를 높여야 할 것이다. 또 유기질 비료의 경우 퇴비생산업자들이 충분히 부숙시킨 후 유통시킨다면 경종농가에서도 선호하게 될 것이므로 퇴비 품질을 높이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김중구 대표(동도바이오텍)=최근 들어 한우고기 품질고급화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고 이를 위해 초음파 단층 촬영기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초음파단층촬영기가 의료용 기기로 분류돼 있어 세제 혜택을 못 받고 있다. 향후 2∼3년내에 초음파단층촬영기가 많이 보급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를 농기자재로 분류해 농가들이 사용하는데 각종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노=검토해 보겠다. △강호재씨(경북 안동)=최근 원유값 산정체계와 관련한 공청회가 두번이나 무산됐는데 그 원인이 어디 있는가? 우선 체세포 규제완화와 관련해 일반농가에서 등급별로 분류해 저장해도 집유 과정에서 등급을 분류해 집유하지 않고 있으며 현재 낙농가 현실적 여건상 체세포 증가는 자연스런 현상이므로 일반 농가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야 할 것이다. 또 집유차량의 유량계가 노후화가돼 이를 교체해야 하며 원유 검사기계 자체도 도단위에서 통일해야 할 것이다. 도단위로 검사기계가 틀려 같은 시료를 가지고 검사해도 결과가 틀리게 나오는 경우도 있다. △정동홍 과장(농림부 축산경영과)=집유차량의 유량계 교체는 각 회사의 신청에 따라 지원해 주고 있다. 그러나 강제적 교체는 불가능하며 앞으로도 신청 받아 지속적으로 교체해 나갈 것이다. △이주호 과장(농림부 가축위생과)=전국에 44개의 집유소가 있으며 각 도별로 1∼2개의 검사소가 있다. 이들 모두 검사기계가 다르며 검사에 약간의 차이가 날 수 있다. 문제가 있다면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을 통해 각 원유검사기계에 대해 비교 검사를 실시할 것이며 오차가 발생한다면 문제점을 파악해 개선해 나갈 것이다. △이광용 상임대표(포천축산발전연대)=정부에서 발표한 가축생산비가 현실과는 차이가 많이 있다. 가축생산비의 산정체계가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자료를 공개할 수는 없는가? △정동홍 과장=생산비 산정 체계는 통계법상 공개가 불가능하며 생산비 산정 체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파악중에 있다. △현대영 회장(경주마생산자협회)=축산농가는 영농자금, 정책자금 등 부채가 상당히 많이 있다. 최근 들어 일반 대출 금리가 많이 내려갔지만 이들 자금의 금리는 크게 변동이 없고 일반 금리가 내려간 만큼 정책자금의 금리도 하향 조정해야 할 것이다. △노경상 국장=정책자금의 금리인하는 재정경제부와 협의 중에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