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고품질 돈육생산기술 심포지엄-2

돈육 수출재개 대책 및 품질향상방안

뉴스관리자 편집장 기자  2001.09.10 14:55:16

기사프린트

한국육류유통수출입협회 김강식 회장

지난 97년 돼지고기 수입이 완전개방되면서 생돈 및 지육가격 측면에서는 미국이나 덴마크와는 가격경쟁력이 불가능했지만 국내 소비자들의 부위별 선호도 차이로 인해 안심이나 등심, 후지의 경우는 국내가격이 수출가격에 비해 낮아 수출이 가능한 부위였으며 목등심과 삼겹살, 전지, 갈비의 경우는 수입가격이 국내가격보다 상대적으로 낮아 수입이 가능한 부위였다.
수입개방시 1백kg 비육돈 및 지육가격은 93년 당시 비육돈 kg당 생산비가 1천3백원에 대비해 특수부위(삼겹살, 목등심)의 수입을 통해 국내 돼지고기 수급시 생돈 kg당 1천1백76원으로 형성하며 비인기부위(안심, 등심, 후지)를 수출했을때는 1천3백3원으로 형성할 것으로 봤다.
이러한 이유로 양돈산업은 94년 1월에 수출종합대책을 세워 품질개선단지 40개소(1,613농가, 1,789천두)를 육성했다.
또 규격돈 출하장려금 및 잔여육 처리자금 지원, 전문수출조직인 한국육류수출입협회 설립 지원 등 돼지고기 수출을 위해 91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1조1천4백69억원을 투자했다.
수출대책을 추진한 결과 지난 99년 신선농산물 수출액 791.1백만달러 중 3백40만달러로 돼지고기가 42.9%를 차지하기도 했다.
그러면 앞으로 대일수출의 전망을 살펴보면 첫 번째로 8월 국제수역사무국(OIE)에 청정국 신청 후 내년 2월에 청정국의 지위를 획득하면 5월쯤이면 수출이 재개될 수 있는 방안과 두 번째로는 8월 청정국 신청하고 내년 5월에 청정국 지위를 획득한다면 내년 8월이나 9월쯤이면 수출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지난해 일본의 나라별 돼지고기 수입현황을 살펴보면 미국이 일본 냉장육 수입량의 67.2%를 차지했으며 캐나다가 22.7%였다.
한편 우리나라가 수출이 중단되기 전인 99년도 일본 냉장육 수입량을 11.9%를 차지했던 점을 고려한다면 수출 재개시 미국이나 캐나다가 점유하고 있는 냉장육 시장에 대한 점유 제고를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이와 함께 수출재개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문제가 우리 나라가 99년 일본 통관기준 수입량 75.5천톤(한국 수출기준 80.2천톤)에 달하는 물량을 수출하기 위해서는 품질과 가격경쟁력 제고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또 규격돈의 생산체계를 재정비하고 97년부터 99년까지 대일 수출시 비규격돈의 수출(돈육수출량대비 규격돈수출비율, "97-70%, "93-38%, "99-58%)로 인한 신뢰회복도 필요하다.
일본은 지난 8월부터 내년 3월까지 세이프가드를 발동해 냉장육중심의 수출대책 추진이 불가피할 것으로 본다.
수출이 중단된 이후 출하체중이 1백10kg에서 1백5kg이하 감소하고 출하일령도 1백80일령에서 1백70일령 이하로 줄어들었고 PSE돈육의 발생율은 15∼20%였던 것이 40∼45% 이상을 늘어난 상태로 수출 돈육으로는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고 품질 향상에 대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일본의 수입육의 육질평가 기준이 냉장육 소비자 구매에 민감한 육색과 탄력, PSE발생평가 등을 중점적으로 판단해 냉장육 원산지 표시로 인해 한국산에 대한 구입의향이 저하될 우려까지 있다.
지육가격대비 양돈농가와 가공업체와의 수익성 관계를 살펴보면 냉장육 1백%로 유통시에는 지육 2천3백원에서도 1만1천3백20원의 수익이 가능하며 냉장육 40%와 냉동육 60%로 유통시에는 지육가격 2천6백원에서 가공업체의 경영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또 전지 및 잡육에 대한 수입을 억제키 위한 적정돈가는 지육가격기준 2천3백∼2천4백원정도이며 전지수입가격이 2천2백70원일 경우 국내산 후지가격 2천1백∼2천2백원선으로 대체가 가능할 것으로 본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대일 돈육수출로 인해 국내 양돈산업은 계속 성장해 왔으며 수출중단이후에는 수출부위(안심, 등심, 후지)의 재고 증가로 인해 돼지가격이 경영비선 이하로까지 하락했다.
이에 구제역 청정국 인정과 동시에 돈육을 수출하기 위해서는 규격돈 생산 대책이 필요하며 수출경쟁국과의 경쟁하기 위해서는 냉장육 위주로 수출하되 품질향상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국내 양돈산업의 안정을 위해서는 지육가격 2천3백∼2천6백원 정도에서 농가소득이 보장될 수 있는 양돈사양기술의 도입과 실천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정리 이희영 lhyoung@chuksa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