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고기의 등급판정에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 지난 7일 축산기술연구소(소장 김경남)에서 열린 「닭고기 품질향상과 유통개선 방안」심포지엄에서 축산물등급판정소 고경철 부장이 이같은 의견을 제기했다. 고 부장은 이날 심포지엄에서 오는 2003년 실시예정인 닭고기 등급제와 관련해 현 도계장 시스템에서는 등급판정사가 등급판정을 실시할 때 한 개체에 소요되는 시간이 2초밖에 없다며 등급판정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지적하고 이를 해결키 위해서는 등급판정의 자동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한편 건국대 김정주 교수는 「국내생산 닭고기의 소비·유통실태와 개선방안」이란 주제발표에서 국내 닭고기의 유통에 있어서는 산지시장에 별도로 없으며 육계는 반드시 도계장을 거쳐야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산지시장의 경우 몇몇 계열주체나 상인그룹에 의해 좌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국내 닭고기의 유통 시스템의 개선을 위해서는 농장단계에서부터 철저한 방역·위생수준을 높여야 하며 전국적으로 50여개에 이르는 도계장의 시설낙후와 저조한 가동률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HACCP(위해요소중점관리제도)의 도입은 위생적이고 안전한 닭고기의 생산 유통을 위해서 반드시 도입해야 할 것이며 닭고기에 대한 검역 및 검사기준의 강화가 필요하고 국내산 냉장육과 수입 냉동육과는 질적인 면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어 원산지 표시 의무를 철저히 지여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오는 2003년 실시예정인 닭고기 품질등급제 시행과 관련해 축산기술연구소 이상진 박사는 향후 닭고기의 유통과정 중 부분육이 차지하는 비중이 더욱 커질 것이라며 부분육에 대한 등급안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지적했다. 특히 (주)마니커의 한형석 사장은 정부의 정책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고 지적하고 예를 들어 올해 일본과 우리 나라의 상황은 비슷했지만 일본의 경우 닭고기 값이 폭락했고 우리 나라는 오히려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같은 결과는 우리 나라가 육계산업이 어려움을 겪으면서도 정부가 수출산업으로 육성 정책이 경쟁력을 가질 수 있었던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또 정부가 발표한 양계산업종합발전대책이 나온 후 그 후속 조치가 미흡하다며 세부실천 계획을 조속히 마련할 것을 주문했다. 이희영 lhyoung@chuksan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