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폭락 돼지값 안정 여부 비선호부위 소비에 달렸다

농림부 관련 전문가 긴급대책회의

뉴스관리자 편집장 기자  2001.10.08 15:27:00

기사프린트

농림부는 하락하고 있는 돼지값 안정을 위해 국내 비선호부위 소비확대를 위한 군납제도 개선과 지속적인 소비홍보, 그리고 육가공업체를 통한 수매비축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노경상 농림부 축산국장은 지난 5일 단시일내 돼지값이 큰 폭으로 하락하자 관련전문가들을 참석시킨 가운데 "돼지 수급 및 가격안정 대책" 긴급 회의를 열고, 앞으로 돼지값 전망 등과 함께 돼지값 안정을 위한 다각적인 방안을 모색했다.
이 자리에서 노국장은 돼지사육두수가 지난 9월 1일 현재 8백76만7천두로 이는 3개월전보다는 37만1천두, 전년동기보다 39만6천두나 각각 증가한 상황에서 미국 테러영향 등 경기악화에다 소비둔화까지 겹쳐 돼지값이 떨어지고 있다며 이같은 상황에서 농림부는 비선호부위를 이용한 양념육, 돈까스 등을 생산할 수 있는 2차 육가공장 시설지원 및 돈까스 프랜차이즈 개선 지원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노국장은 특히 돼지값 안정을 위해서는 정부의 직접적인 수매 개입보다는 육가공업체로 하여금 비축을 하도록 자금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구제역 청정국 인증을 획득했다하더라도 당장 수출이 재개되는 것은 아닌 만큼 우선 구제역 및 돼지콜레라 예방접종을 실시하지 않은 제주산 돼지고기부터 우선 수출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돼지 1만9천두를 도태한 후 돼지콜레라 예방접종 중지 지역산을 우선 수출하는 등 단계적으로 수출전략을 수립, 추진해 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노 국장은 그러나 구제역 청정국 유지를 위해서는 가축방역의 고삐를 느슨히 해선 안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 김강식 육류수출입협회장은 앞으로 돼지값은 경영비선과 생산비선에서 횡보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정부가 경영비선을 보장해 줄 것인가 아니면 생산비선을 보장해 줄 것인가를 판단해서 수매에 들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정찬길 건국대 교수는 최근의 돈가하락은 예년과 크게 다르지 않다면서 정부의 직접 수매보다는 육가공업체의 자금지원으로 비축하도록 하는 편이 낫다고 주장했다.
정영철 정P&C 소장은 최근의 돈가하락은 예견된 것이었지만 미국의 테러영향으로 소비둔화가 예상보다 매우 컸다며 이번 가격하락은 국난인 만큼 정부가 수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소장은 그러나 10월에서 11월사이에 바닥을 치고 12월에는 반드시 올라갈 것이라고 장담했다. 김영란 yrkim@chuksa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