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한국 농업 농촌 발전과 여성 농업인

박성자 농림부 여성정책 담당관

뉴스관리자 편집장 기자  2001.11.05 13:38:56

기사프린트

멕킨지의 한국 여성리포트(Woman Korea Reaport)에 따르면 우리나라가 OECD 가입국 중에서 세계 10위권인 1인당 국민소득 3만1천달러가 되려면 2010년까지 매년 6.1%의 성장을 해야한다. 그러려면 향우 10년에 걸쳐 산업구조의 대전환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 서비스업과 지식산업 중심으로 약 3백90만개의 일자리가 생기는데, 이중 98만개의 일자리가 소멸되고, 약 3백만개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며, 이 과정에서 1백20만개의 전문직이 탄생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우리 나라의 농업 농촌 발전에 있어서도 예외가 아니다. 특히 이제까지는 여성들만이 여성 정책에 대해 관심을 가졌는데 앞으로는 농업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고급 여성인력을 농업에 투입해야 한다.
한국 농업 농촌의 발전과 여성 농업인에 대해 말하기 전에 우선 세계질서의 변화를 보면 우선 21세기는 20세기와 달리 힘이 지배하는 사회가 아니라 정보와 지식이 지배하는 사회라는 사실이다. 따라서 21세기는 여성의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정보와 기술분야에서는 여성이 유리할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같은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문제가 있다. 세계적인 감각의 미성숙, 낮은 국제 어휘력, 세계화된 시장 경제에 대응한 경영전략의 부재등이 그것이다.
그러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나. 무엇보다 세상을 보는 눈부터 바꿔야 한다. 또 세상 돌아가는 일에 관심을 갖고 주도적인 입장이 돼야 한다. 목표를 확립하고 행동하고, 못한다라고 말할 수 있는 용기도 가져야 한다. 또 상호 이익을 추구하고, 차이점을 소중히 할 것을 강조하고 싶다.
그럼 이제 한국 농업 농촌 발전과 여성농업인에 대해서 본격적으로 살펴보자.
우선 여성농업인 정책 수립 배경을 살펴보면 영농형태가 전문화 되면서 농업인력구조의 큰 변화를 가져왔다. 이에 따라 여성 농업인의 역할이 크게 증대됐다. 99년 현재 여성이 농가 인구의 51.9%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여성 농업주종사자 비율이 70년 28.3%에서 99년에는 52.5%로 늘어났다. 앞으로도 농가인구의 감소와 가족 중심으 영농구조로 여성농업인의 역할은 현재보다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여성농업인의 전문인력화, 지위 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