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남은음식물 사료화위해 처리비용 일부지원 필요

「제5회 남은음식물 안전 사료화 이용기술」심포지엄

뉴스관리자 편집장 기자  2001.11.21 12:13:25

기사프린트

남은음식물의 사료화를 위해서는 환경분야에서 처리에 소요되는 일부 비용을 축산분야에 지원하는 등 양자간의 협력체계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지난 16일 남은음식물사료화연구회(회장 유동준)와 축산기술연구소(소장 김경남) 주체로 열린 「제5회 남은음식물 안전 사료화 이용기술」심포지엄에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유기영 부연구위원이 「남은음식물 사료화의 경제적 효과 분석」이란 주제발표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유 연구위원은 남은음식물 처리방법 중 톤당 처리비용이 소각처리는 7만7천4백25원이 매립시에는 8만6천8백원이 소요되지만 사료화 할 경우에는 10만4천8백10원이 들어 각각 2만7천원과 1만8천원이 더 소요된다고 밝혔다.
그러나 소각처리 시설들이 정상적으로 가동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서 남은음식물 사료화가 1만8천원의 경제적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오는 2005년부터는 매립이 불가능해져 환경분야 입장에서는 남은음식물의 사료화가 장점으로 부각되고 있다는 것이다.
축산분야측면에서는 배합사료와 남은음식물사료의 경제성을 비교하면 남은음식물 사료화가 4천1백원의 손해가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반면 남은음식물 사료화를 축산분야와 환경분야를 연계시켜 볼때는 1만4천원의 경제적 이득을 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처럼 환경분야와 축산분야를 연계해 남은음식물을 효과적으로 축산업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환경분야에서 처리비용을 일부 지원해줘야하며 축산분야에서도 품질 좋은 사료를 생산키 위한 노력을 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농림부 정동홍 축산경영과장이 발표한 남은음식물사료화 현황을 살펴보면 2001년 10월 현재 남은음식물사료 제조업체는 22개업체가 등록되어 있으며 이중 8개업체만이 영업 중이고 나머지 14개업체는 생산이 중단된 상태라고 밝혔다.
지난 97년 IMF 사태발생후 환율상승으로 인해 배합사료값이 급등으로 인해 남은음식물사료화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나 최근들어 유럽 광우병 발생으로 반추가축에 남은음식물사료의 급여를 중지시키는 등 남은음식물사료화에 대한 농가의 관심이 떨어져 남은음식물사료화 사업이 부진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농림부는 남은음식물을 지속적으로 이용키 위해서는 우선 안전성이 확보되야 하며 농가에 경제적 이득이 돌아가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희영 lhyoung@chuksa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