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한우전문 경영연수/ 안성마춤 한우 브랜드화 전략

우영묵대표/ 안성마춤한우

뉴스관리자 편집장 기자  2001.12.17 11:23:06

기사프린트

1. 브랜드쇠고기 생산기반확립
안성시는 축산업이 발달하여 한(육)우 36,957두, 유우 16,424두, 돼지 207,937두, 닭 2,017,743수를 사육하고 있어 도시근교 축산지대를 형성하고 있다.
송아지 생산부터 고품질 육류생산, 도축, 가공, 유통전반을 종합 관리하는 한우산업 종합발전대책(안성마춤 한우 전국제일 브랜드화사업)을 수립하여 한우산업의 안정적 발전 및 소득증대를 도모하고 있다.
이러한 지역분위기를 고려하여 관내 한우사육농가를 중심으로 안성마춤 한우회를 99년 12월 설립하여 가축인공수정과 종축등록, 한우거세 등을 자율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안성마춤 한우회는 한우인공수정 및 사양관리 지도, 암소사육농가의 송아지생산 파악 관리, 거세시술지도 및 거세우 현황 파악 관리, 송아지 판매 및 구입알선, 안성축협 및 고삼농협과 유기적 협조체제 유지, 안성마춤 한우의 집중적 홍보 등을 하고 있다.
또한 안성시는 한우산업에 대한 프로젝트의 개발과 각종 예산지원, 총괄관리하고 고삼농협은 유통커뮤니케이션 담당, 각종 자료제공 및 농가지도, 안성축협은 인공수정, 종축등록 등 한우개량, 거세를 통한 고급육생산 등을 하고 있다.
대형유통업체를 통한 고정판로확보를 위해 LG백화점(부천, 안산, 구리 3개점) 및 LG마트 송파점을 "안성마춤 한우" 고정판매장으로 확보하고 있다. 또한 안성마춤 한우는 엄격하게 관리된 고품질 육류이기 때문에 믿을 수 있는 한우라는 인식도를 제고시켜 나가고 있다.
특히 품질관리를 위한 기준을 제정하여 생후 6개월령 이내에 거세한 송아지를 생후 27개월령 이상 비육하며 사육관리는 안성마춤 한우회가 규정한 사양관리 시스템을 적용하면서 일체의 호르몬 투약을 금지하는 한편, 후기처리를 위한 사료사용을 준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최근에 소비자들은 품질고급화와 함께 안정성을 크게 중요시하고 있기 때문에 도축장부터 가공공장까지의 전과정에 걸쳐 전두수에 대한 안정성검사를 실시하여 안성마춤 한우고기에 대한 안전성 확보에 노력하고 있다. 구체적인 검사종류에는 TLC검사, 일반미생물검사, 대장균검사, 리스테리아, 살모넬라, 포도상구균, O-157 검사 등이 있다.
안성마춤 한우는 송아지생산·비육·도축·가공·유통에 이르기까지 엄격하게 관리되고 있다. 또한 생산농가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생산자 실명제를 실시하고 있어 생산자인 양축농가, 유통을 담당하는 고삼농협과 안성시가 함께 책임지는 리콜제를 실시하고 있다.
안성마춤 한우를 판매하고 있는 LG백화점 주변과 안성마춤 한우 판매장이 개설될 예정으로 있는 지역의 부녀자 등을 수시로 안성시에 초청하여 엄격한 사양관리 시스템으로 사육하고 있는 양축 시설과 동양최대·최신시설에서 위생적으로 처리되는 도축·가공시설 등의 현장 견학을 정례화하여 소비자의 신뢰를 확보하고 있다.
안성시의 일부 면지역에서 제한적으로 시작하여 2년전 정식으로 발족한 한우회는 이제는 전체 면지역으로 대상을 확대하여 지금은 196호 농가가 회원으로 가입하고 있다. 이들이 사육하고 있는 사육두수는 총 6,500두로 연간 1,200두 정도의 거세고급육을 출하하고 있다.
농가들과의 정산은 출하당시의 등급별 평균가격에 얼마간의 인센티브를 더해주는 형태이다. 구체적으로는 농가가 출하한 한우가 1등급 성적을 받았다면 Kg당 300원을 인센티브로 주고 있는데 이중 150원/Kg은 로고 작성, 매장 디자인 및 진열대변경, 방역대책 등과 같은 브랜드 홍보를 위한 비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한편, 출하 1두당 1만원씩의 자조금을 적립하여 지자체에서 지원해주는 보조금을 합하여 한우회 사무실 운영 경비로 지출하고 있다. 사무실은 경리 1명 및 인공수정사 2명, 한우회에서 이용하는 사료회사로부터 파견된 직원 1명, 보조원 1명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