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한우산업 추이 및 최근동향 1990년에서 1999년까지 축산물생산액(경상가격)은 1990년 3조 9천 210억 원에서 1999년에는 7조 9천 378억 원으로 매년 평균 8.2%씩 증가하여왔다. 1999년의 축산물 생산액 중 육류생산액이 66.7%를 점유하고 육류생산액 중 육류별 점유율은 돼지 50.7% 소 34.8% 닭 14.5% 순으로 나타났으며 1992년-1997년 간에는 소 부분생산액이 돼지 생산액보다 컸으나 1998년부터는 돼지 생산액이 다시 커지게 되었다. 전반적인 축산업의 위치가 1990-1997년 간은 연평균 10.6%의 고 성장을 보였으나 97년 이후 전반적 경기침체, 광우병, 구제역 발생영향으로 저 성장을 기록하였다. 99년도 전체농가 (1382천호)중 축산농가가 43.5%를 점유한 것으로 보면 축산업이 전체농업에 기여, 차지하는 비중이 얼마나 큰가를 알 수 있겠다. 한육우 사육두수 추이를 보면 1990년도 162만 2천 두에서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여 1996년에는 284만 4천두로 최고치를 기록한 뒤 감소세를 보이기 시작하여 2000년에는 159만두, 2001년에는 140만두 선으로 큰 폭으로 감소, 1996년 대비 하면 거의 절반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수입쇠고기완전 개방에 따른 불안심리증폭, 암소 도축율증가, 구제역, 광우병 발생으로 인한 쇠고기 소비위축, 등으로, 사육두수 감소에도 불구하고 거래가격 상승세가 반영되지 못하던 소거래 가격이 2001년 7월부터 상승세를 보이기 시작하여 6월의 270만대(500kg수소기준)에서 7월에 300만원을 돌파, 9월에는 360만 원대로 급상승하였고 10월말에는 430만 원대를 넘어서 2001년도 중 가장 낮았던 5월의 156만 원대 대비 62%정도나 크게 올랐고 11월 하순에는 480만 원대까지 상승하여, 1만 원대(생체거래가격)돌파는 시간문제라는 얘기가 나올 정도로 상승세가 크고 빠르게 나타나, 소값이 금값이라는 얘기가 실감나게 되었다. 산지물량 부족세가 주도한 이러한 오름세로 그간 고급육과의 격차가 비교적 컸던 비고급육의 거래가격 상승폭이 더욱 크게 나타나며, 한우수소 비거세우와, 한우암소, 한우거세우간의 가격 차이가 없어지거나, 일부지역에서는 한우수소 비거세우가 더 높은 가격에 거래되어, 그간 추진해오던 고급육 생산체계가 흔들릴 것이 우려되게 하고 있고, 송아지 거래가격상승으로, 번식의욕이 크게 고취됨에 따라 2001년 2월에 60.3%까지 높아졌던 한우암소 도축율이 6월에는 53.6% 8월 50.1%로 감소되다가 9월에는 46%대까지 크게 줄었다. 이러한 감소세가, 소값이 큰 폭으로 상승됨에 따라 다시 암소 도축율이 증가세로 돌아서며 10월에는 51.4% 11월에는 52.7%로 나타나 지속되온 소값의 큰 폭 상승으로 고급육생산과 번식기반의 붕괴가 우려되고 있다. 11월하순의 생체거래가격이 전국평균가격 9500-9700원대까지 올랐던 한우 가격은 11월말부터 조정, 소강상태를 보이며 약세로 반전되며, 내림세기조를 나타내고 있다. 지속적인 큰 폭의 상승세, 이로 인한 소비거래가격인상지속, 가격상승세 지속을 기대한 장기비육추세로 출하 지연되던 출하물량이 소폭 이나마 증가세로 돌아서고 시중경기가 아직도 위축세가 지속됨에 따른 고가육인 한우고기 소비감소와 돼지고기, 닭고기등 타 육류로의 소비대체, 또한 가장 크게 소비확대가 예상되던 수입쇠고기가 예상보다는 신장율이 낮게 나타나고 있으나, 고급냉장 쇠고기의 소비가 상대적으로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는 점이 소거래 가격이 내림세를 보인 주 요인으로 작용된 듯 하다. 이러한 추세는 2002년 설 성수기인 2월 상순까지 단기적으로 물량이 조절되며 등락세가 나타날 것으로 보여지나, 너무크게 오른 소값이 부담으로 작용될 것이 예상되어, 향후 시중경기 추이가 더욱 주목케 하고 있다. 2. 2002년 쇠고기 수급전망. 2000년도의 국내산 쇠고기 생산량은 214천톤으로 추정, 40만 2300여톤으로 집계된 총소비량의 53.2%점유한 것으로 나타났고, 2000년도 쇠고기 1인당 소비량은8.5kg로 추정되었다. 국내산 생산량 214천톤은 80년도와 90년도 대비 각각 2.3배, 2.25배가 증가되었으나 97년이후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98년에는 IMF 영향으로 1인당 쇠고기 소비량이 7.4kg로 97년7.9kg대비 감소세를 보이며, 국내산 생산량은 273천톤으로 증가하고 수입육은 크게 감소하여 자급율이 70%선을 상회하기도 하였다. 2001년도에는 구제역, BSE영향, 미국테러사태, 세계적인 경기불황등 대형 사안들이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2000년도대비 소비량이 감소될 것으로 나타나 1인당 소비량은 8.0kg이하대로 전년대비 7-8%줄어들 것이 예상되고 있다. 총 소비추정량이 375천톤으로 이중 국내산은 168천톤을 점유 44%대를 유지할 것이 예상되어 전체소비물량의 감소세가 국내산은 2000년대비 20-25%선정도로 추정되나 수입육은 감소폭이 30%이상으로 상대적으로 수입육소비 감소폭이 크게 날것으로 예상케 하고 있다. 2002년도의 쇠고기 수급전망은 많은 변수를 내포하고 있어 상당히 어려움이 더할 것이 예상되고 있으나 2002년도의 쇠고기 수요는 2000년도 수준이상으로 회복될 것이 예상되고 있다. 월드컵으로 인한 관광객증가, 시중경기 회복세예상과 이에 따른 소비증가 지방자치 단체 선거영향과, 돼지고기 대일 수출재개 등도 쇠고기소비증가에 기여도가 적지 않을 것이 예상되며, 특히 일본의 광우병발생으로 인한 쇠고기 교역여건호전도 기대케 하고 있어, 수입쇠고기의 거래량증가세가 크게 나타날듯하다. 1인당 쇠고기 소비량은 2000년수준인 8.5kg로 추정하면 총 소비추정량은 405천톤 수준으로 증가가 예상되고 그중 국내산의 비중은 지속되어온 국내산 소사육두수 감소영향이 상반기까지 이어지고, 하반기에도 소폭증가세가 기대되고 있어 160만톤 수준으로 감소하여 자급율은 40%이하로 내려갈 것이 예상된다. 특히 2000년도 하반기이후 강세 지속으로 인한 국내산 한우의 소비자 거래가격인상 영향이 국민소득구조 변동과 같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어 2002년도의 국제경기동향은 물론 국내경기추이가 전반적인 쇠고기 소비시장의 흐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것이 예상된다. 예상대로 쇠고기 소비가 증가세를 보일 경우 수입육의 소비확대 폭이 상대적으로 더욱 크게 나타날것이 예상되며, 그간 미미한 수준에 머물렀던 수입냉장육이 기폭제역할을 할것이 예상된다. 2001년도 5000톤 수준으로 추정되는 수입쇠고기 냉장육은 그간 수입쇠고기에 대한 소비자 의식을 크게 바꿀것이 예상되어, 수출국 및 대형유통업소들의 판촉행사 등으로 큰 신장이 예상된다. 3. 2002년 한우산업 전망 2002년도의 세계경제전망, 특히 미국경제의 회복세 진입여부와 국내경제의 흐름, 특히 국내경제의 근간인 수출증가 여부가 주목되고 있어, 최근 국내소비회복세가 내수위주, 특히 저금리로 인한 가계부채를 수반하는 불안스런 양상을 보이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더욱 관심사일 듯하다. 2002년도 국내경제에 호재로 작용할 요인들, 월드컵 특수, 경기회복기대, 돈육 대일수출재개, 선거철 수요증대 등이 육류소비, 특히 쇠고기 소비증대에 기대만큼 부응되길 기대하고 싶다. 전체적인 쇠고기 소비증대가 2000년 수준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국내산 쇠고기의 공급은 사육두수감소 영향으로 감소세가 이어질 것이 전망되고 있으나 2001년 연말 한육우 사육두수가 142만두 선에서 2002년도 3월에는 139만 7천두 선까지 감소되었다가 이후 감소세가 둔화되며 하반기로 가면 소폭이나마 증가세가 기대되는 수준으로 관측 예상되고있다. 강세지속영향으로 번식의지가 높아짐에 따른 송아지 생산량 증가가 기대되고 있으나,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던 한우암소 도축율이 2001년 10월 11월 들어서며 다시 증가세로 돌아서는 점이 다소 걸림돌로 우려케 하고 있어 향후 암소도축 추이 역시 주목해야할 듯하다. 국내산 소값 강세에도 불구 예상보다 위축세 양상이 지속되고 있는 수입쇠고기 소비가 냉장육수입판매량 증가 양상을 보이며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어 점진적인 수입쇠고기 물량증대가 예상되고, 큰비중이 아니라도 2001년도 개방되어 수입되다 중단되었던 수입생우도 2002년 상반기 중 소량일지라도 수입이 재개 될 것이 예상되고 있다. 쇠고기 유통시장의 흐름이 점차 차별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어 사회의 소득구조에 따른 고가 고급품과 중, 저가품으로 유통구조도 빠르게 개편되고 있다. 한우가격상승에 따라 취급유통업소도 구조조정 과정이 이뤄지고 있어 한우는 점차 고급육으로서의 자리 매김이 지속적으로 이뤄질 것이 예상된다. 2002년도의 한우가격추이는 시중경기 회복여부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이 예상되는 가운데 1/4분기는 설수요 증대 영향과 출하두수감소영향으로 강세기조가 예상되며, 상반기 중에는 2001년도의 급등한 소값 영향과 소비추이가 조정되는 양상을 거치며 선거 및 월드컵특수가 기대되어 안정 보합권이 예상케 하나, 한우고기 고가화로 인한 소비층의 위축세가 부담으로 작용될듯하여 소폭의 물량 증가세에도 큰 폭의 가격변동이 생길 것도 예상되며, 하반기에는 산지물량의 증가세가 소폭으로 이뤄질 정도로 기대되나 큰 폭의 하락세는 예상되지 않으며, 2002년도의 국제, 국내경기동향과 이에 따른 수입육 소비추이가 크게 관심사일 듯하고, 최근 일본을 강타하고 있는 BSE 등과 같은 돌연 변수가 없길 기대하는 마음 간절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