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젖소 사양에 있어 사료 단백질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들이 증가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관심과 관련하여 사료 단백질의 가치와 이의 활용 기준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사료 단백질 평가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사료 단백질의 양적 평가와 함께 반추위내 분해 양상 평가에는 질소의 구조적 특성 즉, ammonia, amino acids, peptides, protein의 구성에 따라 다르며, 실제 분해 양상은 빠르게 (quickly degradable protein), 서서히(slowly degradable protein) 그리고 반추위 유효분해율(effective rumen degradable protein) 분해되지 않는 부분(ungradable protein)으로 나뉘어 이의 정확한 분해 양상을 평가하여야 한다. 이러한 평가 결과를 각 원료별로 종합하여 젖소의 능력과 사료 섭취량 등의 기준에 따라 급여 사료의 총 급여 단백질 및 에너지와의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정밀 배합이 이루어져야 한다. 젖소의 사료 단백질 요구량에 관하여 NRC(2000)에서 잘 설명하고 있는 바와같이 일반적으로 우유나 근육 단백질 생산을 위한 사료 단백질 요구량에 대해 대부분의 학자들은 유량 25kg 이하의 젖소의 경우 반추위 내에서 생성되는 미생물 단백질만으로도 충분하다고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유량이 높고 증체율이 높은 경우 반추위내 미생물단백질 합성만으로는 단백질 생산량을 충족시키지 못하며, 특히 고능력우의 경우 반추위내에서 분해되지 않고 소장에서 흡수되는 단백질량이 전체 단백질 요구량의 약 40%이상 차지하여야 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사료 단백질 중 소장에서 이용되는 반추위 우회 단백질의 양과 관련 최근 이의 아미노산 조성과 관련된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으며, 이의 아미노산 조성 변화를 통하여 단백질 생산량 증가를 이룰 수 있다는 연구보고가 발표되고 있다. 젖소의 단백질 생산은 소장으로부터 흡수되는 단백질(아미노산)의 양에 따라 제한되기도 하며, 소장으로부터 흡수된 단백질의 양은 반추위를 우회한 단백질의 양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즉, 반추위 내에서 합성된 미생물 단백질과 우회 단백질이 소장에서 흡수되고 단백질 생산을 위한 질소(N) 공급원으로 매우 중요하다. 특정 아미노산에 의한 가축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슈와브(Schwab,1992)는 라이신과 메치오닌이 가장 부족되기 쉬운 아미노산이라 하였고, 코넬(Cornel)의 CNCPS(2000) 모델에서는 이소루신이라 하여, 발표 기관과 연구자에 따라 다소 다른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필자의 연구에 의하면 급여 사료의 조성 및 급여량과 반추 미생물 단백질의 합성량에 따라 다른 결과를 나타내어 우회 아미노산의 이용효과를 보고자 할 경우 주의가 필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공통적으로 발표하고 있다. 필자의 경우 주의가 필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공통적으로 발표하고 있는 결과로는 비유초기 보호 아미노산 및 단백질 급여로 유량 및 유단백 생산량 증산량 증가가 나타난다 하여 비유초기 에너지 단백질 부족 시에 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우회 단백질과 아미노산의 이용 효율이란 사료단백직과 아미노산의 생산 효율 증진이라 할 수 잇다. 젖소의 요구량에 맞지 않는 아미노산 불균형의 단백질 과잉 공급은 생산량 증가로 이어질 수도 있으나 이로 인한 비용 증가와 뇨로 배설되는 요소태 질소 증가, 우유 중 요소태질소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이는 여러 연구자들이 주장한 바와 같이 결과적으로 젖소의 건강과 번식효율 및 환경오염원으로 작용하게 되고 이로 인한 젖소 수명 단축과 사육환경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최근 우회 아미노산관 단백질 공급이 젖소의 건강과 생산성 향상에 긍정적으로 효과를 나타낸다는 연구 결과에 의하면 특히, 비유 초기 급여시 라이신과 메치오닌의 균형공급으로 번식간격과 우유 중 프게게스테론 농도 증가가 나타난다는 결과로 볼 때 비유 초기 젖소의 에너지 단백질 균형 유지로 인한 번식 효율 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건유 말기 자궁내 태아성장이 왕성한 시기에 우회단백질과 아미노산 활용은 모체의 건강뿐 아니라 분만후 우유 생산성 증가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그러나 착유우의 요구량에 맞지 않는 아미노산 불균형의 우회단백질 과잉 공급시 오히려 분만과 젖소 건강에 악영향을 줄수도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젖소에게 우회 아미노산과 단백질 급여 결정은 젖소 능력과 비유시기 등을 고려하고 특히 우유 샌산에 필요한 필수 아미노산 요구량을 산출하여 이에 적합한 단백질 공급이 중요하다 하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