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축산물 수출 점검 - 수출 무엇이 문제인가? 수입개방하에서 한국 육류산업이 살아남을 수 있는 길은 우리 축산물이 국제시장에서 품질, 가격 면에서 경쟁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며 돼지고기는 1993년 12월 UR협상결과 1997년 7월부터 돼지고기 수입이 완전자유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정부는 인접한 일본이 연간 55∼60만톤을 수입하고 있을 뿐 아니라 수입량의 60∼70%가 우리 소비자의 비선호부위인 인심, 등심, 후지 부위인 것을 착안하여 돈육 수출대책을 추진한 결과 1993년에 11,000톤 수출량이 1999년에는 80.2천톤 수출함으로서 돼지 사육두수는 38% 증가한 8,214천두로 늘어났으며 생돈가격 역시 40%나 증가, 우리 양돈산업은 계속 호황이 지속되었으나 2000년 3월 구제역 발생으로 대일 수출이 중단되었으나 정부와 양돈농가의 구제역방역대책 추진결과로 2001년 9월 OIE로부터 구제역 청정국가로 인정되었기 때문에 정부는 일본 정부와의 검역협의가 완료되면 금년 상반기에 수출이 재개되어 우리 양돈 및 돈육산업이 또 한번 활기가 일어날 것으로 알고 있다. 수출재개시 1999년 80.2천톤 수출량에 대하여 미국이 48,000톤, 캐나다가 32,000톤 분할 점유한 물량 재탈환 대책이 최우선 과제라고 본다. 이를 위해서는 기조성된 양돈단지, 품질개선단지의 수출 규격 비육돈 생산체재 재정비와 한편으로는 만일의 경우 수출 없이도 한국 양돈산업이 지속할 수 있는 100kg기준 비육돈 152∼166천원내에서 수익이 보장된 양돈생산성 제고에 부단히 노력하여 주시기를 양돈농가 여러분에게 부탁드립니다. 닭고기역시 수입개방하에서 경쟁력강화 연간 55∼60만톤 수입하는 일본시장에서 냉동육 수출은 미국, 브라질산 수입육에 비해 60%정도 고가인 한국산 다리부위육 수출은 도저히 불가하고 냉장다리육은 일본산 580엔/kg에 비해 한국산은 일본 수입가격이 530엔/kg이기 때문에 가격 면에서 수출이 가능하니 중국산 420엔/kg과 대응하기 위한 대책이 있어야 수출이 가능함으로 우선 금년에는 일본산과 한국산이 품질이 대등하고 가격이 일본산 가격보다 낮다는 것은 일본 소비자, 유통업체에 홍보 한국산 닭 다리육의 수출가능성을 탐지하는 수출전략 전단계 사업으로 추진코자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