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계란등급제 시범대상 확대 검토

농림부, 사업목적 달성과 차기예산편성 차원서

뉴스관리자 편집장 기자  2002.02.14 13:30:21

기사프린트

농림부가 계란등급제 시범사업대상자 확대를 신중히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농림부 축산경영과 정동홍 과장은 지난5일 개최된 대한양계협회 채란분과위원회에 참석, 이와 관련한 생산자들의 의사를 타진했다.
정동홍과장은 이날 회의에서 "올해 년말까지 등급제 시범사업은 계획대로 지속될 것"이라고 전제, "다만 실질적인 시범사업 효과를 위해 내년에 사업을 확대해야 하고 이에따른 예산확보가 필요한 만큼 사전에 계획수립이 이뤄져야 한다"고 밝혀 시범사업대상자 확대를 검토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이와관련 농림부의 한관계자는 "어떠한 내용을 결정해 놓은 것은 없으며 단지 양계협회의 의사를 듣기 위한 자리였을 뿐" 이라며 의미를 축소했다.
그러면서도 사견임을 전제 "대구경북 양계축협 한 개소만의 극히 적은양으로 어떻게 시범사업에 따른 성과를 기대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하면서 "연차적인 사업프로그램을 수립 전개함으로써 업계 여파를 최소화해가면서 시범사업의 성과도 얻을 수 있으나 업계가 지금과 같은 입장이라면 이마저 불가능한 실정"이라고 털어놓았다.
이럴 경우 내년도 등급제 관련 예산 반영에 차질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더욱이 농림가 올해 등급제와 관련해 배정해 놓은 사업규모는 1백5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예산수립 당시 계획했던 것 보다 시범사업자가 크게 줄어 실제 집행은 극히 부진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만큼 연차적 사업계획이 마련된다고 해도 차기년도의 예산반영이 이뤄질 지도 불투명한 상황이 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실제로 등급사 6명 가운데 4명도 이미 소 돼지 부문으로 원대복귀가 이뤄진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대해 농림부 일각에서는 "생산자들이 등급제를 위한 인프라구축의 선결을 요구하고 있는데 예산편성도 하지 못하게 되는 마당에 어떻게 집하장이나 등급사양성 등 인프라 구축을 위한 지원이 이뤄질수 있느냐"는 불만까지 터져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날 채란분과위원회는 이러한 농림부의 의사타진에 부정적인 분위기가 전반에 걸쳐 나타남으로써 농림부를 부심케 하고 있다.
양계협회 최명욱 전무는 "농림부의 입장은 이해할 것 같으나 일단 1년간 시범사업 결과를 놓고 분석이 이뤄진뒤 그 뒤의 사업계획이 나오는 것이 당연한 것 아니냐"며 이같은 협회 입장을 반영했다. 이일호L21ho@chuksa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