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내년도 식량 3백53만8천톤에서 3백86만톤이 부족될 것으로 전망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이 같은 의견은 지난 1일 농촌경제원구원(원장 강정일) 주최로 개최된「북한 농업개발을 위한 협력방안 모색」을 위한 국제학술대회에서 한국농촌경제원 김운근박사가 「북한 농업의 변화와 전망」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밝혔다. 이날 김박사는 2001년 양곡년도를 기준으로 북한에서의 총 식량 소요예상량 6백29만톤 중 3백53만8천톤에서 3백86만톤이 부족할 것으로 주장했다. 이는 올해 북한의 식량생산은 5∼6월의 대가뭄과 9월의 태풍으로 평년작 보다 약 30%감소하여 2백43만톤에서 2백75만2천톤 정도가 될 것으로 추정했다. 또한 김박사는 올해 식량사정이 96년과 97년에 비해 나아졌으나 이렇게 식량부족 상황이 지속되는 것은 경제난에 따른 기계화 및 관개에 필요한 에너지 부족, 비료, 농약등 농자재 공급 부족이 북한의 농업생산성 증대해 커다란 제약요인이 되고 있으며 황폐한 산림과 집단적 소유에 기초한 집단경영 방식도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북한은 김정일 체제 출범 후 식량문제 해결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제2의 천리마 운동등을 전개하고 있으며 남한식 경제개발을 모델로 적용하여 경제회생과 농업회생을 도모하고 있는 것으로 전망했다. 김박사는 국제사회의 지속적인 지원과 북한 당국의 식량증산 노력에도 불구하고 식량생산이 호전되지 않는 것은 그 만큼 북한의 농업생산기반이 취약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하고, 이런 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며 북한의 식량문제는 중장기적인 북한 농업개발 등 거시적인 차원에서 접근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FAO 아시아·태평양 담당관 다우드 칸(Daud Khan)은 「북한 농업 하부구조 복구 및 개발 방안」이란 주제를 통해 현재 북한의 전 국토 면적 중 경작 가능 면적은 2백만ha, 1인당 경지면적은 0.1ha에 불과하고 기상도 농사짓기에 좋지 않으나 필요량의 식량 생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다우드 칸은 북한이 개혁의 길을 택한 다면, 개혁에 필요한 농업생산기반에 투자하는 동시에 농업인의 훈련과 연구등 지원서비스에도 투자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전농협대학장인 박진환 박사는 「북한 농업개발을 위한 남북한 협력방안」이란 주제 발표를 통해 북한의 식량과 농업문제는 북한의 농민들, 농업관련 공직자들과 북한 정부의 지혜와 노력으로 해결해야 하며 다른 나라들의 지원에 의해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는 의견을 제시하기도 했다. 또한 박박사는 식량증산과 농업발전을 위해서는 물적 요인보다도 인적 요인에 대한 지원이 더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이희영 lhyoung@chuksan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