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축산분야 위기감 고조

지도계층 구심점없어 우왕좌왕 불황극복 축산인의지 긴요

뉴스관리자 편집장 기자  2000.11.04 11:13:30

기사프린트

축산분야가 위기론에 휩싸여 있다. 축종마다 비대해진 몸집을 받쳐 줄 체계화된 기능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음에 따라 산업비중에 걸맞는 장기비젼이 실종된 상태에서 허약한 체질을 추tm리지 못하는 등 우왕좌왕하는 분위기다.
축산분야를 이끄는 지도기능에 있어 농축협중앙회통합이후 축산단체들간에 유기적인 의견 교류가 중단된 상태다. 그 한 예로 축산단체장들이 협의체를 구성해 운영해 오던 축산단체협의회가 회장이 공석인 상태에서 표류하고 있으며, 축산분야 중진들의 모임인 축산발전위원회도 그 기능이 중단된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협동조합의 경우 농축협중앙회가 통합된 지 4개월이 지났지만 시너지 효과를 제대로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만만찮다. 회원축협이 제기하는 대표적인 현안은 상호금융상환준비예치금에 대한 금리를 단위농협 7.5%, 축협 4%로 차등적용하고 있는데 따른 불만이 여러 가지 현안에 편승되어 축협인들의 사기저하로 이어지고 있어 축협의 사기진작을 통해 축산발전의 핵으로 육성토록 하는 포용력이 긴요하다는 여론이 비등하다.
또한 일선조합에 확산되고 있는 노사분규 역시 축산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지금은 축산분야가 매우 어려운 만큼 노사가 하나되어 난국을 극복할 것을 양축조합원과 전문가들은 주문하고 있다. 노조활동에 대해 지금은 축협이 과도기인 만큼 조직과 경영이 안정될 때까지 사안을 가려 「조합부터 살리고 제 몫 찾기 노조활동」이 긴요하다고 당부하는 여론이 팽배하다.
축종별 현안을 지켜보는 축산인들의 표정은 더 더욱 담담하다. 한우의 경우 정부가 각종 대책을 강구했는데도 가시적인 효과가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낙농업 역시 여러 가지 불리한 여건이 복병으로 몰려오고 있는데도 이해관계에 얽혀 산업이 하나로 발전하지 못하는 안타까운 상황에 놓여 있다.
양돈업 또한 마찬가지다. 구제역 발생 이후 수출중단에 따른 잉여 돼지고기가 가격 파동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예상이 다소는 늦게 적중했지만 양돈산업 붕괴로 이어질 정도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도 내심으로 약육강식의 원리 적중을 기대하는 안타까운 상황이다.
무엇보다도 축산인들이 경계해야 할 것은 축산업에 대한 일반계층의 부정적 시각이다. 『축산업은 질병도 많고 환경을 파괴하며 외국산에 비해 가격이 높은데…』라는 산업자체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어떤 방법으로 해소시키며 생산경제가 무려 8조원이나 된다는 국가경제의 기여도 즉, 산업의 가치관을 정당하게 평가받도록 하는 노력도 축산인들의 몫이라는 자각이 긴요하다는 것.
축산정책을 바라보는 시각도 제각각이다. 정책관계자들은 『엄청난 예산을 투입했는데도 그 성과가 나타나지 않고 오히려 계층간 이해다툼으로 일관해 산업을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기 힘들다』는 불만이 터져나오는 반면 일부 축산인들은 『체계적인 장단기 계획없이 그때그때 상황에 따라 짜 맞추는 정책으로 그동안 일관했기 때문에 한계의 벽에 부닥쳤다』는 견해를 나타내고 있다.
이같은 축산분야의 당면현안에 대해 뜻 있는 축산인들과 전문가들은 축산업에 대한 정부의 자급목표 설정은 물론 축산인 스스로 구심점을 마련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 글로벌 경제 체제하에서 산업이 존재하려면 경영과 조직의 전문화는 필연적인 만큼 이의 실현을 위해 지혜를 모아야 한다는 것이다. 식생활 기호에 맞는 고품질의 축산물생산이 바로 축산인들의 몫임을 가정할 때 이를 수행할 기능과 체제를 갖춰야 함이 상식이라는 것. 따라서 이의 실현을 위한 차원높은 지도기능과 정부의 안목있는 정책이 절실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주문이다. <취재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