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원유수취가 + 송아지 생산 = 1억3천여만원

검정우 24두 보유농가 한해 조수익은?

뉴스관리자 편집장 기자  2002.02.18 13:02:18

기사프린트

젖소검정농가의 한해 수익은 얼마나 될까. 또 올바른 낙농경영을 위해 규모화는 절대적인가.
우선 검정농가의 조수익을 살펴보면 크게 원유수취가격과 송아지 판매에 따른 이익을 들 수 있다.
전국 검정농가가 보유중인 두당 평균 산유량은 2001년 11월말을 기준 8296kg. 이 산유량에 낙농진흥회가 지난해 지불한 원유kg당 평균 유대 6백32원을 곱하면 검정우가 농가에 벌어준 평균 원유가격은 한해동안 5백24만3천72원에 달한다.
2001년 12월 현재 전국의 호당평균 젖소사육두수는 42.70두. 이중 2세이상 경산우는 24.7두. 이 두수를 검정농가에 접목하면 지난해 수취한 원유가격은 1억2천9백50만3천8백78원이다.
송아지 생산은 연간 번식률 70%에 암·수송아지 생산비율을 각각 50%로 볼 때 약 17두이다. 이에 따른 수입은 초유떼기 기준 암송아지 가격 평균 45∼80만원. 수송아지 40∼60만원으로 송아지 생산 수입은 1천만원내외로 검정우 24두를 보유한 검정농가의 조수입은 유대와 송아지 생산에 따른 수입을 합하여 모두 1억3천9백여만원에 이른다.
체세포·세균수등 유질이 우수하고 유지율·유단백율이 높은 원유를 생산하거나 체형이 우수하고 생산능력이 높은 개체를 보유중인 농가는 유대와 송아지 판매에 따른 수입이 보다 높아 1억4천만원을 상회할 것이다.
전국 낙농가의 두당 평균 산유량은 2000년 12월말 현재 6천8백71kg으로 집계되고 있다. 전국 농가의 연간 수입도 평균 유대와 송아지 판매 수입을 합하면 조수입은 모두 1억원 이상이다.
그러나 원유생산에 따른 제반물가가 매년 급등하고 분뇨처리와 도시화에 밀리는 등 낙농여건이 날로 어려워지고 있다.
따라서 낙농농가에서 실제 손에 쥐는 이익은 농가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겠으나 조수입중 35∼55% 사이이며 이중 건물·기계구입 등에 따른 감가상각비와 토지구입비 등을 제외한 자가노력에 의한 대가성 수입은 20∼35% 사이라는 것이다.
농림부 농산물품질관리원에서 조사한 원유 1백kg 생산에 따른 생산비는 2000년 현재 농후사료비 1만5천8백77원을 비롯 ▲조사료=6천2백7원 ▲수도광열=4백51원 ▲방역치료=1천2백5원 ▲수선비=2백79원 ▲소농구비=12원 ▲제재료비=3백97원 ▲고용노임=4백31원 ▲종부료=3백17원 ▲차입금이자=1천79원 ▲임차료=2백73원 ▲기타잡비=2백27원 ▲감가상각비=7천2백41원 ▲자가노력비=7천2백55원 ▲고정자본이자=3천6백9원 ▲유동자본이자=45원 ▲토지자본이자=9백72원등 모두 4만2천3백원.
이 생산비는 포천축산발전연대모임 등에서 현실과 아주 먼 조사라고 지적하고, 관계당국을 상대로 낙농 생산비 조사방법 및 근거자료 등 관련문서를 비롯 ▲통계 조사시 투입된 조사원 명단과 ▲낙농 생산비 조사대상 표본농가 2백24명에 대한 명단 등을 요청한바 있다.
대다수 낙농가들은 원유생산비는 사육규모·조사료 생산 여건과 지역 등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원유kg 5백70원∼6백30원에 이른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대다수 낙농가들은 규모화와 체계적인 개량 등에 의한 젖소 사육과 현실과 미래에 부합한 사고를 겸비치 못하면 낙농업을 경영할 수 없다고 보고 체계적인 개량과 시설개선 등에 적극 나서고 있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국의 낙농가구수는 1990년 12월 이후 매년 감소하는 반면 젖소사육두수는 거의 그대로 유지되어 호당평균 사육두수는 90년 12월 약15두에서 ▲95년=23두 ▲2000년 12월=40두 ▲2001년 12월=42두로 매년 늘어났다. 특히 젖소 50두 이상 전업 낙농가 점유율은 90년 1.9%에 불과했던 것이 ▲95년=11.7% ▲2000년=25.2% ▲2001년=33.2%로 급신장, 규모화 되었다. 이에 따라 젖소사육에 따른 두당 노동력 투하량은 농림부 집계 자료에 의하면 연간 85년 4백10시간에서 90년 2백95시간·95년 2백15시간·2000년 92시간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무튼 국내 낙농 여건하에서 가장 올바른 낙농경영은 지역과 인력 문제 등을 감안하는 등 목장여건에 알맞은 사육규모 확대 또는 유지와 체계적인 개량 등에 나서야 할 것이다. <조용환>

<표. 연도별 낙농규모 추이변화>
낙농가구수 젖소사육수 호당사육수 50두이상 A/B
(A) 전업농가(B)
1990.12 33,277호 503,947두 1,514두 659호 1.9%
1995.12 23,519호 553,467두 2,353두 2,773호 11.7%
2000.12 13,348호 543,708두 4,073두 3,373 25.2%
2001.12 12,827호 548,176두 4,270두 4,270호 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