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장관은 이날 국회 농림해양수산위원회로부터 종합감사를 받는 자리에서 이같이 잘라 말하고, 한국냉장의 공사화나 민영화 연기는 현재까지 생각해 본 적이 없다며 당초 방침대로 민영화가 옳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한 장관은 양돈적정사육마리수 750만-770만두 유지를 위해 모돈 10%인 9만3천마리를 감축키로 생산자 스스로가 결의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모돈 감축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며 목표량의 절반이상을 감축하는 등의 자조적인 노력이 선행됐을 때 정부가 직접 수매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한 장관은 특히 내년 생우 수입 문제와 관련, 한우둔갑 등을 방지하기 위해 수입전에 귀표로 생우 원산지 표시 및 도축전에 6개월 사육기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EU와 같이 출생국·사육국·도축국·가공국이 다른 경우 이를 표시하는 등의 수입생우 유통경로를 철저히 추적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국내 검역능력이 생우 8천5백두 정도인데 이는 지난해 쇠고기 총수요량의 약 0.5%인 정육기준 약1천7백톤이라고 설명했다. 한 장관은 농가부채와 관련, 이 문제에 대한 심각성을 인식하고 있는 만큼 몇 가지의 안을 놓고 관계부처와 협의중에 있다며 지금까지 추진해온 농가부채 해결 방법과는 다른 차원으로 접근하고 있음을 내비쳤다. 한 장관은 검역문제에 대해서는 중국 등 해외수입농축산물의 검역강화를 위해 여행객 휴대물품에 대한 검역을 강화하고, 현지검역과 함께 해외검역·검사관련 정보수집을 강화하는 한편 그동안 추진된 검역대책의 미흡한 점을 보완, 중장기 검역강화대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영란 yrkim@chuksan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