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수급위 제자리 찾아야

뉴스관리자 편집장 기자  2002.04.26 00:00:00

기사프린트

최근 계란가격이 생산비 이하에서 한달여간 지속되자 업계는 생산자단체를 중심으로 소비캠패인 사업과 함께 채란업 안정을 위한 대농가 호소문 등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그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2년전과 같은 극심한 상황으로까지 치닫지 않을까"라는 우려의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그렇지만 정부로부터 국내 양계산업의 수급안정 도모역할을 부여받은 양계수급안정위원회에서 이러한 다급함은 전혀 찾아볼 수 없다면 어느 누가 이해할 까.
지난 10일 농협에서 개최된 제1차 회의만도 그렇다.
수급위는 올해 사업계획만을 일사천리로 통과시킨후 대부분 진부하거나 혹은 개인적 이해와 관련된 내용만 내놓았을 뿐 최근의 계란가격에 대한 언급은 찾아볼 수 없었다. 도무지 수급위원회라는 생각조차 들지 않을 정도였다.
물론 생산자발표 공식 산지계란가격이 그당시 90원대로 본사업전개시기를 명시해놓은 수급위 사업계획에는 아직 부합되지 않아서 일런지는 모른다. 그렇다해도 계란 체화가 심화되고 가격폭락이 이뤄지고 있는 현실이 수급위의 회의안건 조차 되지 못할 사안이라는 것인가.
더욱이 그당시 일선농장에서의 실거래가격은 생산비를 밑돌고 있다는 것을 이날 참석자라면 누구보다 잘알고 있을 것이다.
특히 업계 전문가들은 노계도태 지원사업만 일찍이 이뤄졌다면 사전에 최근의 사태를 막을 수 있었을 것이라는 분석과 함께 수급위의 조용함에 아쉬움을 표출키도 했다.
이는 가격변동이 극심한 양계산물의 특성상 상황에 따라 사업계획 자체를 과감히 수정, 적용시켜야 하며 그 시기를 놓치지 않는 것이 수급안정사업의 핵심요인임을 지적하는 것이다.
일부 관계자들은 "수급위 위원들이 그 역할에 대한 성격을 제대로 이해 못하고 있는 상황에 회의를 주재하는 의장의 현장감 결여도 문제"라는데서 원인을 찾기도 했다.
그러나 더 이상은 안된다. 어떤 이유에서건 하루빨리 양계수급안정위원회가 본연의 자리를 확고히 하고 진정 그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위한 다각적인 자구방안이 모색돼야 할 것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