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계란등급제 활성화위해 등급구분 단순화 필요

가금학회 산학협동 심포지엄서 류동윤상무 사례발표서 제안

뉴스관리자 편집장 기자  2002.05.10 00:00:00

기사프린트

현재 시범실시중에 있는 계란등급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등급 구분의 단순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지난 3일 대구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2002 한국가금학회 춘계산학협동 심포지엄에서 대구경북양계축협 류동윤 상무는 계란등급제 시범사업에 대한 사례발표를 통해 이같이 제안했다.
가금학회와 대한양계협회가 공동주최한 이날 심포지엄에서 류상무는 계란등급제 품질등급이 1+·1·2·3등급 등 4개로, 중량등급의 경우 왕·특·대·중·소 등 5개로 각각 구분돼 너무 많은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제품란을 기준으로 할 때는 무려 80여종에 달할 뿐 아니라 중·소란을 제외하더라도 48종류나 된다는 것이다.
이로인해 백화점과 대형할인마트 등 등급란 주요판매처에서 매장진열이 까다로운 것은 물론 주문시 발주서를 기준으로 하기 보다는 등급된 계란에 의해 주문과 판매가 이뤄짐으로써 이들 업체들의 불만과 함께 판매량확대에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류동윤상무는 이에따라 등급란의 보다 신속한 매장진열과 판매업체들의 불만을 해소하고 소비자들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품질등급을 등급란 상·중·하품 등 3개로, 중량등급은 전체 중량을 표시하는 등 등급단순화 방안을 적극 모색해야 할 것으로 분석했다.
또 일반적으로 30구 판란의 경우 수송에 필요한 대차가 있어 안전한 수송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등급란 제품은 재박스포장을 의무화, 필요이상의 포장에 따른 원가상승으로 가격경쟁력 약화를 초래하고 있는 것으로 지적했다.
이를 개선키위해 류상무는 캡슐포장란은 플라스틱 회수용 상자사용을 고려하고 30구판란은 대차 등을 이용케만 해도 무방할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아울러 조합판매계 담당자들의 개별적 홍보와 구입권유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의 등급제와 등급란에 대한 인지도가 낮아 소비확대 속도가 둔화되고 있다며 등급제의 일부 또는 부분적 홍보 보다는 정부의 공공사업으로 각인될 수 있는 대소비자 및 판매업체 홍보정책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농림부 축산경영과 안규정씨의 "양계산업 현황 및 시책"을 비롯해 축산물등급판정소 고경철 부장의 "계란등급제 현황과 발전방안", 축산기술연구소 안종남연구관의 "주요국의 닭고기 등급제 현황과 국내추진전략" 등에 대한 주제발표도 이어졌다.

이일호L21ho@chuksa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