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굴지의 종돈회사인 유전자원에서조차 구제역이 발생, 충격을 더하고 있다. 그동안 구제역 방역의 관건은 부업 축산농가였던 것이 사실이었다. 그래서 부업축산농가들의 방역 의식을 어떻게 높일것인가에 방역 지도에 초점이 맞춰졌다. 전·기업 농가의 경우는 자체적으로 철저한 방역을 하고 있는만큼 큰 걱정을 하지 않았던 것이다. 이번 유전자원에서의 구제역 발생은 그래서 더욱 충격적이다. 특히 유전자원과 같은 유명 종돈회사의 경우 많은 양돈장에서 믿고 종돈을 구입해 왔다는 점을 상기할 때 이번 유전자원에서 구제역이 발생함으로써 자칫 전체 종돈장에 대한 불신으로까지 이어지지 않을까 걱정된다. 그렇지 않아도 종돈업계는 종돈 검정 문제와 관련, 검정소 검정과 농장 검정을 놓고 논란을 벌여 왔는데 농장 검정의 장점 중의 하나가 바로 질병 문제로부터 안전하다는 것이었다. 그런점에서도 이번 유전자원에서 구제역이 발생한 사실은 양돈업계에 시사하는바가 적지 않다 하겠다. 한편 이번 구제역 발생과 관련, 주목되는 또 하나는 J모 사료회사 시험농장에서 구제역이 발생했다는 점이다. 시험농장은 그야말로 질병 방역은 기본중에 기본으로 인식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사료회사 시험농장에서의 구제역이 발생한 것은 우리 축산업계의 방역 수준이 어느정도 인가를 단적으로 말해준다 하겠다. 아무튼 이번 종돈장과 시험농장에서조차 구제역이 발생한 것은 축산현장의 차단 방역 허점을 여실히 드러냈다는 점에서 방역 문제를 전면적으로 재검토하고 다시한번 돌아보는 기회를 가져야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