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안성과 용인, 충북 진천지역에서 구제역 발생이 늘어나자 농림부는 지난 12일 가축방역중앙협의회를 개최하고 최초발생 농장인 경기도 안성의 율곡농장과 충북 진천의 이춘복씨농장을 중심으로 반경 3km이내 지역의 돼지 전두수를 살처분키로 했다. 또 이번 3km이내 살처분 대상에서 돼지를 제외한 소, 사슴 등 기타 우제류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임상관찰을 실시, 만약 1두라도 구제역이 발생시 전 두수를 살처분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그러나 지난 3일 최초 발생한 율곡농장을 중심으로 구제역 발생이 늘어남에 따라 율곡농장 반경 3km를 기준으로 발생농장 인근까지 지형지물을 고려, 살처분 범위를 확대키로 했다. 경기도축산위생연구소는 지난 14일 새벽 1시 현재 율곡농장건 3개 농장 1만8백17두, 태양농장 및 옥산영농조합건 14개 농장 2만1천5백21두, 제일제당 시험농장 건 8개 농장 3천4백77두, 가율농장건 10개 농장 4천3백67두 등 총 35개 농장 4만1백82두에 대해 살처분을 완료했거나 일부 진행중이라고 밝혔다. 또 3km이내 지역에 모든 돼지를 살처분하게됨에 따라 안성과 용인지역에 추가로 44농가 4만2천3백81두가 살처분 처리된다. 그러나 살처분을 실시하는데 따른 어려움도 적지 않은 실정이다. 무엇보다 살처분은 매몰에 의한 방법을 선택할 수 밖에 없는데, 매몰 장소를 확보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매몰후 악취 등도 문제점으로 드러나고 있다. 매몰장소는 지표까지의 간격이 2m이상이 되도록 4∼5m의 깊이로 할 경우 폭이 3m인 경우 1m당 25두의 매몰할 수 있도록 돼있다. 따라서 4만두를 살처분 할 경우 폭 3m의 구덩이가 1.6km나 될 정도로 많은 면적을 필요로 하고 있어 매몰후 지하수 오염 등의 우려도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당분간 살처분에 따른 악취 발생 등 인근주민들의 직·간접적인 피해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도 아울러 요구되고 있다. 이번 살처분 대상 농가에 포함된 심우범 사장(백봉농장)은 “더이상 구제역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도 농가들은 빠른 시일내에 살처분 하기를 바란다”며 “그러나 살처분후 휴업기간에 대해 정부의 명확한 답변이 없는 상황에서 자식같은 돼지를 살처분 하는 것은 쉽지 않은일”이라고 말했다. ■위험지역내 소 사육농가는 젖소나 한우 사육농가들의 경우 일단 구제역이 돼지에서만 발생하고 있어 이번 구제역 사태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반경 3km이내에 들어가 있는 한우 및 젖소 사육농가의 경우 지난번 발생했던 구제역 바이러스와 동일한 점을 감안, 혹시 한우나 젖소에도 걸리지 않을까하는 우려을 자아내며 이번 살처분 대상에서 제외됐다는데 안도감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지난번에는 젖소나 한우에서만 발생했던 점을 감안, 바로 코앞에서 구제역이 발생했다는 사실에 언제 한우나 젖소로 감염되지 않을까 노심초사하고 있다.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에서 젖소 60여두를 사육하고 있는 한 농가의 경우 “구제역 발생농장이 눈앞에 보이는데 살처분 대상에서 제외 된 것이 오히려 더 불안”하다며 “아예 살처분 대상에 포함시켜 다시 시작하는 것이 오히려 나을 수 있다”고 말했다. ■경계지역내 이동제한 농장 이번 살처분 대상에서 제외된 3∼10km내에 위치한 농장들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명확한 보상책이 없어 이들 농장들에 대한 대책도 마련되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미 지난 2일부터 도축장의 폐쇄로 인해 출하되지 못하고 있어 피해가 커지고 있다. 인근에 위치한 농장의 경우 이미 돈사가 포화상태이고 밀사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이들에 대한 수매도 빠른 시일내에 결정되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 안성과 용인지역에 2개의 도축장이 지정됐지만 이들 도축장에서 부산물 처리가 곤란해 반입을 꺼리고 있어 이들 농가의 피해에 대한 보상도 마련되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농장 직원 살처분 대상 농가에 대한 보상뿐만아니라 이들 농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직원들에 대한 대책 마련 문제도 만만치 않다는 것이다. 북부AI센터의 이준길 대표는 “살처분 대상농장에 종사하는 직원들에 대한 대책 마련에도 소홀함이 없어야 할 것”이라며 “발생농장의 경우 살처분 가축에 대한 보상이니 긴급생계 자금, 경영자금 등이 지원된다고는 하나 어렵게 생활하는 직원들에 대한 대책은 없어 이에 대한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용인AI센터의 정준환 상무도 “농장에서 근무하는 직원들 중에는 고급인력이 상당수 포함되 있으며 살처분 후 당장 생계문제를 걱정해야 된다”며 “용인이나 안성에서 근무했다고 하면 타 지역에서의 일자리 구하기도 힘들 것”이라는 것이다. ■인근 주민 지난 13일에는 백암면 고안리의 한 구제역 발생농장의 인근 주민들의 반발로 살처분을 못하는 사태까지 빚어졌다. 발생농장의 경우는 그렇다 치더라도 양돈이나 축산을 하지 않는 농가의 경우는 아무래도 지역의 오염을 염려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득도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