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중앙회(회장 정대근)는 금융연구원이 연구용역에서 제시한 축산경제와 농업경제를 경제사업본부로 통합하는 방안에 대해 반대입장을 정리했다. 농협은 지난 13일 열린 경영위원회에서 "금융연구원의 신경분리안"에 대한 검토결과를 상정하고 이같은 내부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축산경제사업부문은 현행처럼 독립사업체제로 존속이 가능케 됐다. 농업·축산경제사업의 통합 반대 이유는 "농·축협중앙회를 통합 운영한지 2년도 되지 않은 상태에서 축산경제와 농업경제를 통합하는 것은 여론은 물론 시너지성과도 희박하기 때문이라는 것. 이와 관련 회원축협과 축산관련단체등 축산업계는 그동안 축산경제와 농업경제의 통합을 전제로 한 금융연구원 연구용역 내용에 대해 강하게 반발해왔었다. 농협은 이밖에 "금융연구원 신경분리안"에 대해 "환경변화와 조합원의 기대에 부응하고 협동조합의 기본정신을 살리면서 각종 사업의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전문화가 필요하다"는 부분에는 공감하는 동시에 "신경분리시 신용사업은 보호되고 지도·경제사업은 자금부족등으로 어려움을 겪을 우려가 있으므로 충분히 검토·보완돼야 한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또한 1단계 방안의 경우 법적, 실무적 문제는 물론 농업인과 조합의 정서에도 어긋나는 부분이 있으며 2단계는 1단계 방안중 문제점을 보완하고 전제조건들이 충족된 이후에 검토돼야 한다는 것이 농협의 의견이다. 농협은 3단계 방안인 조합의 신경분리는 우리나라 농업·농촌여건상 현실성이 희박하다고 분석했다. 금융연구원이 내놓은 "농협의 신경분리안"의 내용에 대해 농협이 현실과 맞지 않는 사안들이 많아 반대하는 입장을 정리함에 따라 이에 대한 처리결과가 주목되고 있다.<신정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