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생산비 상승...계열화사업 취지 희석

계열화업체에 확산되는 지역소장제 살펴보니...

뉴스관리자 편집장 기자  2002.05.28 00:00:00

기사프린트

국내 육계계열화업체들 사이에 지역소장제 도입 추세가 확산되면서 이에따른 우려 또한 그어느 때 보다 높아만 가고 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거의 대부분 업체들의 지역소장제를 도입하고 있으며 그 비중도 점차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추세에 대해 해당업체들은 한결같이 "효율적인 농가관리와 대농가 서비스를 통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점을 표면적인 이유로 들고 있다.
지역소장들이 캐리어와 함께 사양관리 등 육계사육을 위한 모든 면에서 해박한 지식을 갖추었을 뿐 만아니라 기업보다 의사결정도 빠르고 자유로운 농가와의 접촉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업소속의 직원보다 농가들과 밀접한 관계유지와 확보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때문에 근본적으로 생산단계의 추가에 따른 생산비 상승요인을 내포하고 있음에도 최종 생산비에서 유리하다는 주장.
그러나 막상 현실과는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이 업계 전문가들의 전반적인 시각이다.
이들은 지역소장의 가치가 생산성향상을 위한 농가서비스나 관리에 필요한 경험이나 자질보다는 얼마나 많은 농가를 확보했느냐에 따라 대부분 좌우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는 곧 계열화업체가 말하는 효과는 기대할 수 없게 할 뿐 아니라 단순히 육계농가와의 교분과 안면이 많다는 점 하나만을 배경으로 능력의 검증없이 유통인이나 계열화업체 직원, 심지어 농가들까지 지역소장으로 가세와 난립을 유발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H사의 한 사육담당 임원은 "회사여건상 어쩔수 없이 일부지역에 한해 지역소장제를 운영하고 있으나 생산성향상에는 별 도움이 안되는 것 같다. 더욱이 최근과 같이 질병이 성행할 경우에는 회사에서 직접 컨트롤 하는 것이 훨씬 유리하다"고 밝히고 있다.
물론 그 성과에 대해서는 회사나 지역소장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이관계자는 "대부분 업체들의 사정도 크게 다를 바 없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더욱이 이들 지역소장들에 의해 한꺼번에 많은 농가들의 이동이 이뤄질 수 있어 계열화업체들은 갑작스런 계약농가 이탈이라는 위험성을 안고 갈 수 밖에 없는 만큼 특히 농가확보경쟁이 치열해 지는 시즌에는 계열화업체들의 지역소장 눈치보기가 심화될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지역소장제 확산추세에도 불구하고 일부업체에서는 직접관리를 고수하거나 그 비중을 최소화하고 있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구조적인 문제점과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계열화업체들이 지역소장제를 선호하는 이유는 무얼까.
"한명의 지역소장만 제대로 영입하면 많은 농가를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농가들에게 부딛기며 골치아플 필요가 없다는게 솔직한 심정"이라는 한 계열화업체 관계자의 말은 그 이유를 한마디로 설명하고 있다.
농가와 관련된 모든 일을 지역소장 한명만 상대해 해결하면 된다는 것이다.
이와함께 회사에서 농가관리를 담당해 왔던 직원들도 지역소장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불리한 대접을 받고 있다는 판단에 독자사업추세 늘고 있는 반면 단기간내에 대체인력을 투입하기 어려운 기업사정과 "지역기반이 없는 곳에서의 사육기반 확보"라는 잇점도 배경으로 풀이되고 있다.
따라서 계열주체와 계약농가간 가교기능이 지역소장의 핵심역할임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어떠한 문제발생시 농가입장에서 계열화업체에 해결을 요구할 수 있는 아무런 법적 뒷받침도 돼 있지 않아 결국 농가들만 손해보는 사례가 적지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 계열화업체의 지역소장은 "잘키우면 문제가 없으나 사육여건이 악화에 따른 심각한 생산성 여파나 농가문제 발생시에는 모든 책임과 피해가 지역소장에게 돌아온다"며 "물론 일부는 농가에게 맡기도 외면하기도 하지만 확보농가수가 우리의 재산인 이상 사재를 털어서라도 농가들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밖에 없는 것이 지역소장들의 현실이라고 하소연했다.
결국 국내 계열화업체에서 도입하고 있는 지역소장제는 상당수가 첫단추부터 잘못 끼워짐으로써 그 장점을 충분히 살리지 못한채 생산비상승을 유발, 계열화사업의 취지자체를 희석시키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계열화업체와 농가사이에 벽을 두껍게 할 뿐 아니라 농가들의 불신만 가중시키는 요인으로도 지목되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원론적으로 지역소장제는 결국 생산비의 상승을 불러일으키는 구조적 한계를 가지고 있는 만큼 결코 권장할 만 것은 아니라고 분석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회사마다 각기 처한 입장이나 사육여건이 차이가 있는 만큼 불가피하다면 이로인한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농가들의 불만을 해소할 수 있는 방향으로의 새로운 접근과 정착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이를위해 우선 생산성 향상을 위한 대농가서비스와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한지 능력에 대한 검증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하며 계열화업체와 지역소장간 관계정립 및 이를뒷받침 할수 있는 기반조성이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에서는 임의적 한계를 넘어서기는 어려우나 농가관리 담당자나 지역소장들의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설치나 등록제의 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일호L21ho@chuksa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