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발생농장마다 방역대 설정해야

구제역 대책, 이것이 아쉽다

뉴스관리자 편집장 기자  2002.05.28 00:00:00

기사프린트

민관군이 하나가 되어 구제역 방역에 임하고 있는 가운데 최초 발생농장으로부터 위험지역과 경계지역을 설정한 개념을 벗어나 발생농장마다 계속해서 방역대를 새롭게 설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수의전문가들에 따르면 대부분의 구제역 발생지점이 위험지역안에서 발생했고 일부 경계지역에서 발생하고 있지만 이미 여러곳에서 발생하고 있는 만큼 원발농장(최초발생농장)의 개념이 무너졌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방역당국이 원발농장을 중심으로 3km이내 돼지에 대해서 살처분 하고 있는 것은 현실을 안이하게 판단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수의전문가들은 또 더 이상의 재발을 막고 조기에 구제역을 박멸하기 위해서는 발생된 모든 농장을 중심으로 위험지역과 경계지역을 설정하고 위험지역내 돼지를 모두 살처분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특히 지난 2000년 홍성발생 구제역의 경우 살처분이 늦어져 계속 확산됐지만 발생농장 주변농장까지 모두 살처분한후에 더 이상의 발생없이 종식시켰다는 것을 상기시키고 있다.
특히 이미 원발농장을 중심으로 3km이내 위험지역에 대한 살처분이 이뤄졌기 때문에 용인군 원삼면을 제외하고는 새롭게 위험지역을 설정하고 위험지역내 돼지를 살처분 한다고 하더라도 살처분에 따른 보상비용은 그리 많지 않을 것으로 수의전문가들은 추정하고 있다.
더구나 구제역 발생인근의 일부 농가의 경우 부락단위로 돈을 모아 돼지를 매입후 살처분 하는 등 구제역 확산방지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만큼 방역당국도 모든 발생농장으로부터 방역대를 새롭게 설정하고 위험지역내에 있는 모든 돼지를 살처분 하는 것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특히 "영국의 경우 무조건적인 살처분 정책이 있었기 때문에 구제역을 종식시킬 수 있었다"며 "구제역 조기 박멸을 위해서는 보상비를 걱정해서는 안되며 오직 조기에 박멸시키겠다는 생각만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신상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