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구제역 사후대책이 중요하다

명찬동 축협중앙회 노동조합위원장

뉴스관리자 편집장 기자  2002.06.04 00:00:00

기사프린트

요즘 대한민국은 월드컵의 열기가 전국을 강타하고 있다. 한국팀이 온 국민의 숙원인 16강 진출의 꿈을 실현시킬 수 있을지 전 국민의 눈과 귀가 월드컵에 쏠리고 있다.
그러나 축구에 대한 열기와 관심도 구제역으로 인해 좌절과 고통에 빠져있는 양축농가와 축산인들에게는 그저 먼 나라의 이야기로 들릴 뿐이다.
월드컵으로 인해 "국가적 재앙"이라 할 수 있는 구제역에 발생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과 이의 해결을 위한 참여가 미흡한 것 같아 안타깝다.
지금 우리는 국내 축산농가를 파탄으로 몰아넣고 축산업의 기반을 붕괴시킬 수 있는 엄청난 파괴력을 지닌 구제역에 대항해 정부는 물론 협동조합과 관련단체, 해당 양축농가 등 민·관·군이 하나가 되어 힘든 싸움을 전개하고 있다.
다행히도 관계부처 및 시·도, 협동조합, 양축농가 및 방역당국의 유기적인 협조체계 구축에 의한 방역활동과 확산방지 대책으로 지난 5월20일 이후 추가발생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어 구제역이 진정국면에 들어선 것이 아닌가 하는 희망을 갖게 한다.
이런 시점에서 우리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방역 및 확산방지 활동과 더불어 구제역 바이러스가 완전히 사라지고 난 이후의 사후대책에 대해서 조심스럽고 신중하게 생각하고 논의해야 할 때가 아닌가 싶다.
이같은 논의의 중심에는 이번 구제역으로 피해를 입고 시름에 잠겨있는 양축농가가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먼저 정부는 구제역 발생으로 인해 피해를 입은 농가에 대한 보상대책을 시급히 수립하고 이에 대한 집행을 신속하게 처리해야 할 것이다. 살처분에 의한 피해보상금과 삶의 터전을 잃은 농가에 대한 생활안정자금, 시설자금 등 양축농가의 입장에서 현재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대한 지원을 빠르고도 신속하게 마무리해야 할 것이다.
또한 살처분·매몰지역에 대한 소독, 방역복 소각, 침출수 차단, 경고표지판 및 가스배출관 설치 등 사후관리에도 만전을 기해 이로인한 제2의 피해 및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정부와 더불어 축산업 발전과 양축농가의 이익을 위한 한축을 담당하고 있는 생산자 단체인 협동조합도 주인인 양축농가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축산업의 발전 기반을 강화시키기 위한 후속조치에 심혈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협동조합은 구제역 이동제한지역의 가축의 출하 및 판매에 어려움을 덜어줄 수 있도록 우제류 가축을 수매하고 축산물 가격의 안정을 위해 축산농가의 홍수출하 자제와 축산물 안전성에 대한 홍보를 강화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정부와 협동조합 등 축산관련단체는 이번 구제역 발생을 거울삼아 다시는 이 땅에서 구제역이 발생하지 않도록 공항, 항만 등에 대한 철저한 검역 및 사전 방역활동과 선진방역 체계의 확립, 일선 양축농가에 대한 지속적인 홍보와 지도활동 등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