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농협노동조합(위원장 류재현·전농노) 지난달 28일 지역조합의 부실자산 매각과 채권추임을 위해 중앙회가 7월중 설립할 "농협자산관리회사"에 분명한 반대입장을 표명했다. 전농노는 "중앙회가 자회사를 만들어 회원조합의 부실채권을 맡아서 정리한다는 것은 결국 농민들에 대한 부채상환 압박을 가중시킬 우려가 크다"며 "연대보증에 인한 부실채권을 안고 있는 농민들이 상당수인데 영리회사인 자산관리회사가 관리한다며 농민파산만을 양산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중앙회는 회원조합의 남은 고정자산마저 모두 처분해 가져간다는 계획"이라며 "중앙회는 자산관리회사를 통해 자신들의 신용사업을 더욱 강화하고 낙하산 인사의 근원지를 또하나 늘릴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전농노는 "중앙회는 통합되면 경영관리비 절감비용 3천억원과 불요불급한 고정자산 매각으로 5∼6천억원을 지역조합에 지원할 수 있다고 약속했지만 통합 2년이 되도록 아무것도 지켜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중앙회 는 2001년 3천8백4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냈는데 이는 경제사업이 적자를 보는 대신 신용사업에 치중한 결과로 이제는 신용자회사까지 만들어 금융지주회사로 도약할려고 한다고 주장했다. 전농노는 "중앙회는 2001년 당기순이익이 97년보다 19배가 늘었지만 지역조합에 대한 배당금은 2.8배만을 늘렸을 뿐"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3개 중앙회가 통합되면서 중앙회장과 이사회, 총회등 조합의 의견을 수렴하는 의결기구와 집행대표자를 폐지시킨 결과를 초래했으며 농협중앙회의 실질적인 인원 및 부서는 크게 축도되지 않았다는 것이 전농노의 주장이다. 구 농협중앙회는 전혀 축소되지 않고 구 축협중앙회의 부서 및 시도지회만 일부 축소 또는 폐지돼 농협중앙회는 실질적으로 더욱 비대화됐다는 지적이다. 전농노는 농협중앙회는 경제사업장을 회원조합에 이관한다는 방침은 주로 자회사로 이관하는 것으로 변질돼 중앙회의 지배권만 강화시키고 수익중심의 사업방식으로 농민들을 더욱 힘들게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