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선축협, 어려움 속 축산인의 힘 됐다

[축산신문 신정훈 기자] 전국축협 2023년 사업분석 결과 건전결산 시현 경제사업 실적 22조3천여억원…농가 실익 초점 여·수신 증가…상호금융 사업규모 136조원 상회 전국 축협은 2023년에 22조3천605억원의 경제사업 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139개 축협 평균 경제사업 물량은 1천608억원에 달했다. 전국 축협은 2022년 경제사업 실적 22조8천417억원과 비교하면 2023년에는 4천812억원이 줄었지만 금리 인상, 이상 기온, 축산물 가격 하락, 경제적 불확실성 등이 이어진 어려운 경영 여건 속에서도 내실 경영과 축산농가 조합원의 실익에 초점을 맞추며 나름대로 건전 결산을 해냈다는 분석이다. 2023년 축협 경제사업을 분야별로 살펴보면 구매사업은 4조5천326억원으로 전년 4조4천710억원 대비 616억원이 늘었다. 판매사업은 10조6천975억원으로 전년 11조4천166억원 대비 7천191억원이 줄었다. 마트사업은 1조8천861억원으로 전년 1조8천425억원에서 436억원 증가했고, 가공사업은 4조6천81억원으로 전년 4조4천532에서 1천549억원이 늘었다. 생장물사업은 2천787억원으로 전년 3천177억원에서 390억원이 줄었다. 지역별 경제사업 실적은 경기도가 4조19억원으로 가장 규모가 컸다. 다음으로는 경남 3조455억원, 충남·세종 2조9천912억원, 경북 2조9천489억원, 서울 2조7천953억원, 전남 2조3천739억원, 강원 1조1천62억원, 충북 8천174억원, 제주 6천537억원 순이었다. 축협별 경제사업 10위를 보면, 서울우유농협(조합장 문진섭)이 2조727억원으로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는 부경양돈농협(조합장 이재식) 1조4천629억원, 도드람양돈농협(조합장 박광욱) 1조4천468억원, 대전충남양돈농협(조합장 이제만) 8천364억원, 수원축산농협(조합장 장주익) 5천347억원, 대구축산농협(조합장 최성문) 5천90억원, 김해축산농협(조합장 송태영) 3천177억원, 제주축산농협(조합장 천창수) 2천943억원, 춘천철원화천양구축산농협(조합장 이중호) 2천774억원, 논산계룡축산농협(조합장 정창영) 2천741억원 순이었다. 이들 상위 10위권 축협의 경제사업 물량은 8조260억원으로 139개 전체 축협 물량에서 35.8%의 비중을 차지했다. 상위 3위권에 들어간 서울우유농협, 부경양돈농협, 도드람양돈농협의 경제사업 물량은 4조9천824억원으로 전국 축협 물량 중 22.2%의 비중을 차지했다. 상위 10위 축협을 놓고 사업 분야별 1위를 보면 도드람양돈농협이 구매사업 3천794억원, 판매사업 1조119억원으로 두 개 분야에서 1위를 달렸다. 마트사업에선 김해축산농협이 916억원으로 1위였다. 서울우유농협은 가공사업에서 1조5천626억원으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전국 139개 축협의 2023년 상호금융 실적을 보면 예수금의 경우 평잔 기준으로 75조1천504억원을 기록했다. 2022년 68조6천557억원에서 6조4천947억원이 증가한 것이다. 대출금 평잔의 경우에는 61조6천83억원으로 전년 58조5천240억원에서 3조843억원이 증가했다. 정책대출금 평잔은 4조9천383억원으로 전년 3조7천240억원 대비 1조2천143억원이 늘었다. 보험료(생명+손해)는 8천929억원으로 전년 9천248억원에서 319억원이, 정책보험료는 99억원으로 전년 101억원에서 2억원이 줄었다. 예수금과 대출금(평잔 기준)을 합친 축협 상호금융 사업규모는 136조7천587억원에 달했다. 실적 상위 10위 축협을 살펴보면, 1위 서울축산농협(조합장 진경만) 7조7천359, 수원축산농협(조합장 장주익) 5조627억원, 3위 대구축산농협(조합장 최성문) 3조9천706억원, 4위 서울경기양돈농협(조합장 이정배) 3조6천967억원, 5위 한국양봉농협(조합장 김용래) 3조5천374억원, 6위 서울우유농협(조합장 문진섭) 3조3천970억원, 7위 안양축산농협(조합장 배용석) 3조1천915억원, 8위 청주축산농협(조합장 이종범) 3조1천782억원, 9위 한국양계농협(조합장 정성진) 3조694억원, 10위 용인축산농협(조합장 최재학) 2조9천825억원이었다. 경제사업 상위 10위권에는 품목축협이 강세를 보인 반면 상호금융사업 상위 10위권에는 수도권을 비롯한 대도시 권역에 소재한 축협이 이름을 올렸다. 서울우유농협, 수원축산농협, 대구축산농협은 경제사업과 상호금융사업에서 모두 10위권에 들었다. 축산신문, CHUKSANNEWS

2024-03-27
축단협, 22대 총선 겨냥 5대 요구사항 발표

[축산신문 이동일 기자] 축종별 특성 반영 개별법 제정 촉구 수입 축산물 무관세 국회서 심의케 농가 경영안정 제도적 장치 마련 자조금법 개정…거출 장려금 지원 직불금 확대·도축장 전기세 감면 축산관련단체협의회(회장대행 김상근)가 지난 15일 제22대 국회에서 긴급히 해결해야 할 주요 총선 공약 요구사항을 발표해 여야 각 당에서 축산업계의 의견을 어느 정도 수용할지 이목이 국회로 쏠리고 있다. 축단협은 이날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와 관련 주요 축산 현안과 현장 축산인들의 목소리를 종합한 ‘축단협 5대 총선 요구사항’을 발표하고, 축산인들의 숙원을 담은 만큼 이를 반드시 해결해 줄 것을 촉구했다. 축단협의 요구사항에 따르면 첫 번째는 ‘지속가능한 축산을 위한 개별법 제정’이다. 축단협은 축산농가들의 염원인 축종별 별도의 법안을 국회에서 발의했으나, 정부에서는 별도법 제정 대신 축산법 개정을 검토한다는 이유로 반대했다. 지속가능한 축산업을 위해서는 다양한 축종별 산업의 특성을 반영한 축종별 개별법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식량안보를 위한 수입 농축산물 무관세 국회 심의 개정’이다. 정부의 축산물 무관세 적용 수입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소비자 가격 안정의 목적은 달성하지 못하고, 국내산 축산물 가격 폭락과 자급률 하락만 불러왔다고 지적했다. 개선을 위해 향후 농축산물 저율 및 무관세 수입 시에는 현 농산물수급조절위원회가 아닌 국회 농해수위에서 심의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세 번째는 ‘농가 경영 안정을 위한 정책자금 확대 및 사료안정기금 마련’이다. 축단협은 사료값 파동이 6~7년 주기로 반복되고 있으며, 국제 곡물가의 변동성 및 수입의존도가 높은 상황이지만 축산농가의 안정적 경영을 보장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사료가격안정기금 마련을 위한 법 개정 및 제도의 신설을 촉구했다. 네 번째는 ‘거출장려지원금 등 신설을 위한 축산자조금법 개정’이다. 자조금 거출 주체인 축산단체에게 거출장려지원금을 지급해 축산자조금 운영 및 관리의 안정성을 도모토록 하자는 취지다. 다섯 번째는 ‘공익직불금 확대 및 도축장 전기세 감면 지침 개정’이다. 탄소중립 정책에 맞춰 축산분야에 대한 공익직불금이 확대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도축장 전기요금 특례 할인이 올해 말에 종료됨에 따라 도축장 운영 및 출하 농가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우려된다며, 관련 지침 개정 및 할인 적용 범위 확대를 요구했다. 김상근 회장대행은 “현장 축산인들의 심각한 상황을 인지하고, 지속가능한 축산업의 미래를 위해 후보자들의 공약사항에 포함해 적극 추진해 줄 것”을 촉구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

2024-03-20
농식품부, 한우·낙농산업 중장기 발전대책 수립 착수

[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농림축산식품부가 한우와 낙농산업 중장기 발전 대책 마련에 착수하면서 관련인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우인과 낙농인들은 오는 2026년 관세 철폐를 앞두고 이에 대응할 수 있는 각종 제도를 현실적으로 개선해 줄 것을 요망하고 있다. 이에 농식품부는 생산자단체와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T/F팀에서 지속가능한 한우와 낙농산업 발전 대책에 어떤 내용을 포함시킬 것인지를 놓고 수 차례 회의를 거듭하면서 오는 5월 중 확정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그동안 한우와 낙농산업은 농가의 자구 노력, 국민소득향상 등의 영향으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양적·질적으로 크게 성장했다. 쇠고기 1인당 소비량은 2000년 연간 4.1kg에서 2022년 14.9kg으로 3.6배 증가했으며, 낙농의 경우 유가공품 소비가 2001년 27.45kg에서 2022년 53.8kg으로 증가하는 등 소비구조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농식품부는 이에 따라 이런 변화된 현실에 맞는 정책을 새롭게 수립할 계획이다. >> 한우산업 사육기간 단축·농가 농산부산물 사료 활용 확대 송아지생산안정제 현실적 개선…수급안정 도모 ■ 한우=한우의 경우 사육규모 증감 반복 등 수급 불안이 내재하고 있고 고비용 생산구조와 수입 쇠고기 무관세화 등이 위협 요소로 평가받고 있다. 이에 장단기 수급조치를 체계적으로 추진토록 해 중장기 수급 안정을 추진하고 발동 조건을 맞추기 까다로워 유명무실한 제도로 여겨지고 있는 송아지생산안정제에 대한 개편도 검토하고 있다. 또한 생산기반 강화를 위해 사료 효율이 높은 종축의 육성과 사육기간 단축 등을 추진하고 한우 농가에 농식품부산물사료 활용 확대를 유도하는 방안도 담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어 소비시장 활성화를 위해 숙성육 시장을 육성하고 친환경 한우 시장의 육성은 물론 수출시장 확대와 온라인 거래 등 유통부문 개선 역시 검토 중인 사안이다. >> 낙농산업 소비 변화 대응 유지방·유성분 기준 인센티브 적용 로컬 유제품시장 육성·소분화로 치즈사업 활성화 ■ 낙농=낙농의 경우 소비구조 변화에 맞지 않는 흰우유 중심의 고비용 생산구조에 대한 개편이 한 걸음 더 나아갈지 관심이 모아진다. 농식품부는 흰우유 중심의 생산이 국내산 우유의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생산기반을 위축시키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에 생산기반 구축을 위해 유지방·유성분 기준 등으로 인센티브에 대한 개편을 추진하고 로컬 유제품 시장을 육성하며 수요처 발굴을 위해 다양한 유제품 개발, 해외시장 개척 등을 추진하는 한편 치즈 소분 판매 허용 등 치즈 사업의 활성화를 유도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농가 경쟁력 강화 및 수익성 제고, 신성장동력 확충 등을 통한 산업의 지속가능성 제고에 방점을 두고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며 “5월 최종 발표 전까지 전문가들과 논의를 거쳐 안건들을 가다듬어 축산업의 발전을 위한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

2024-03-13
스마트 축산 고도화…미래성장 촉진

[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농림축산식품부가 농업의 디지털전환·세대전환·농촌공간전환 등 3대 전환을 바탕으로 국민 모두에게 열린 기회가 되는 농업·농촌을 만들기 위한 2024년 주요 업무 계획을 발표했다. 농식품부는 지난 4일 서면으로 진행된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올해 규제 완화, 칸막이 제거, 부처협업 등을 바탕으로 ▲디지털 전환 및 기술 혁신을 통한 미래성장산업화 ▲농가 소득·경영안전망 구축 ▲과학적 수급관리 강화 ▲농촌을 살고 일하고 쉬는 공간으로 전환 ▲선진국 수준의 동물복지 실현 및 반려동물 연관산업 육성 등 5개 핵심과제의 성과 창출과 현장문제 해결에 주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업무보고에는 축산분야에 대한 다양한 계획도 담겼다. 생산기술·냄새저감 등을 중심으로 우수한 솔루션을 보급하고, 축종별 사육모델 보급을 통해 하드웨어 중심의 1세대 스마트 축산을 인공지능, 빅데이터 기반의 2세대로 전환키로 했다. 올해도 원자재 가격 상승 여파로 인한 경영비 부담 완화를 위해 축산농가 사료구매자금이 융자(1조원) 지원된다. 농가 인력부족 문제 완화를 위해 외국인력 배정 인원 및 공공형 계절근로센터를 19개소에서 70개소로 대폭 확대하고 근로자 기숙사 설치도 확대한다. 환경문제 개선을 위해 정부 지원 퇴비화 시설 온실가스 저감장치를 의무화하고, 바이오차 및 에너지화 시설을 확대해 가축 분뇨 처리 과정에서의 저탄소 기반을 구축, 온실가스를 저감하는 사료 보급과 함께 저탄소 축산물 인증대상도 한우에서 돼지고기와 우유까지 3축종으로 확대한다. 가축 방역과 관련해서는 지난해 럼피스킨, 구제역 등 가축전염병 조기 안정 성과를 바탕으로 축산주체의 책임방역에 기반한 18개 시군 특별관리, 계열사 자율방역 관리를 강화하고 검사·소독, 방제에 대해 민간전문 방역업체 등록· 관리제도를 신설하는 등 민간에 대한 개방을 확대하기로 했다. 축산물 수급관리 체계도 개선된다. 한우의 경우 생산자단체 중심의 사전 생산조정(암소감축·송아지 입식조절) 등을 위한 수급조절 매뉴얼 정교화 및 한우 관측체계 고도화를 통해 주요 축산물의 수급안정 역할 제고 등 축산자조금 기능 강화 방안을 마련해 발표하기로 했다. 농식품부 송미령 장관은 “디지털전환·세대전환·농촌공간전환 등 3대 전환을 바탕으로 선제적인 규제혁신, 칸막이제거, 부처협력 등을 통해 현장문제를 해결하고 국민들께 최고의 정책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따뜻한 농식품부가 될 수 있도록 리더십을 발휘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농식품부의 축산관련 주요 대책의 발표 일정은 ▲제3차 축산계열화 사업 발전 기본계획 ▲한우산업 중장기 발전대책(5월) ▲낙농산업 중장기 발전대책(5월) ▲수급안정 기능 강화 등 축산자조금 기능강화 방안(6월) ▲가축전염병 특별방역대책(9월) ▲가축전염병 방역 중장기 계획 수립(12월) 등이다. 축산신문, CHUKSANNEWS

2024-03-06

















주소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1962. 6층 (우편번호:08793)
대표전화 : 02) 871-9561 /E-mail : jhleeadt@hanmail.net
Copyright ⓒ 2007 축산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