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금수의사회, AI 대안으로 ‘백신’ 활용 제시

2017.02.03 11:01:54

“살처분 정책 보완 히든카드”
“질병 방어 다양한 대책 요구”
바이러스 변이 우려 목소리도

[축산신문 서혜연 기자]

 

고병원성 AI 방역의 새로운 대안으로 ‘백신’ 활용이 제시됐다.
지난해 11월 첫 AI 발생 이후 가금류 3천만 수 이상이 매몰된 가운데, 살처분 정책으로 일관하기 보다는 백신 등 여러 방안을 병행해야한다는 수의사들의 의견이 쏟아져 나왔다.
한국가금수의사회(회장 윤종웅)는 지난 1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HPAI 백신정책 포럼’<사진>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에서 윤종웅 회장은 긴급백신, 예방백신, 전국백신 등 세 가지 정책방향을 제시했다. 특히 긴급백신은 살처분 정책의 보완대책으로, 발생지 주변의 바이러스 증식과 배출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오염지역의 대규모 살처분 과정에서 시간적 여유를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검토 가능한 제품으로 사독백신, 재조합 백신이 있다. 이는 산란계, 종계에 실시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사육기간이 짧은 육계와 오리 등은 기존의 살처분 정책을 따른다.
윤 회장은 “대부분의 국가는 살처분과 더불어 백신플랜을 가지고 있다. 긴급백신을 사용하는 나라는 미국, 러시아, 북한, 이스라엘 등이다”라고 말했다.
또한 AI 혈청형이 144개로 방어가 어렵다는 점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윤 회장은 “144개 중 대부분이 저병원성이며, 고병원성인 HA항원은 2가지다. 우리나라는 지속적으로 H5형이 유행했는데, H5항원은 사독백신의 경우 90% 이상 방어력을 보이며, N타입까지 일치할 경우 100% 방어력을 볼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윤 회장은 “정부에서 AI 대응을 위한 전략적인 시나리오를 세워야 한다”며 “매년 유행균주를 예측해 방어율을 미리 평가하고 준비한다면, 위험지역에만 예방적 백신을 하거나 백신 후 살처분을 하는 등 다양한 정책구성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학계 교수도 백신정책 도입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건국대학교 송창선 교수는 백신 도입이 ‘히든카드’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방역 인프라에 투자 없이는 질병을 막지 못한다. 특별한 조치 없이 계속해서 살처분만 한다면, 많은 가금류가 매몰되는 일이 매번 반복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우려의 목소리도 있었다.
대한양계협회 이홍재 부회장은 “백신 투여로 바이러스 변이종이 출현할 수 있다. 인체감염 등 부작용도 배제할 수 없다. 살처분, 백신 정책 외에도 농가가 안심하고 키울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그러나 건국대학교 류영수 교수는 “첨단기술이 발달하면서 백신의 한계를 점차 극복하고 있다. 구제역도 백신이 아니었다면 막기 어려웠을 것”이라면서 “중국의 AI 발생을 추적해 예상 유행균주를 분석하고, 백신 후 모니터링을 철저히 한다면 AI를 막기 위한 하나의 무기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서혜연 west-sea@naver.com
당사의 허락없이 본 기사와 사진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1962. 6층 (우편번호:08793)
대표전화 : 02) 871-9561 /E-mail : jhleeadt@hanmail.net
Copyright ⓒ 2007 축산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