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축산업계는 올해도 현실과 괴리된 정책들로 적지 않게 수고로움을 겪어야만 했다. 미허가축사 적법화라든가 축분퇴비 검사 의무화 시행을 앞두고 축산인들은 날이면 날마다 정책을 현실성 있게 개선해 달라고 목청을 높였다.
올 한해 이렇게 우리 축산인들을 괴롭힌 것은 비현실적인 정책이라는 독소에다 냄새로 인한 감정 민원, 악성가축질병 등이다.
그러나 이런 것들은 따지고 보면 우리 축산업계가 반드시 극복해야 할 과제임에 틀림없다. 생명줄만 연장시키는 응급처치를 언제까지 해야 할지 사실 고민이 필요한 부분이다.
이번 기회에 축산의 시스템을 갖추는 ‘축산 리셋’의 원년으로 생각해 보는 것도 괜찮을 듯 하다. 한민족 DNA에 각인된 ‘전화위복’의 저력을 보여줄 수 있는 호기로 삼아도 좋지 않을까 한다.
그렇다면 대한민국 축산을 리셋할 장단기 어젠다와 로드맵에는 무엇으로 담아야 할까. 축산 체질을 근본적으로 강화하기 위한 중장기적 리셋 노력을 정부에만 맡겨서도 안 된다. 주체인 우리가 나서야 한다.
방향을 제대로 설정한 후, 우리 체력에 맞게 속도를 정해 제2의 축산진흥을 위한 가슴 설레이는 새날의 꿈을 이뤄보자.
“잠을 자면 꿈을 꾸지만, 실천하면 꿈을 이룬다”고 하지 않았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