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난 양봉농가, 9일 궐기집회 강행키로

2023.03.02 08:52:56

정부, 꿀벌집단 소멸 사태 원인 농가에 전가
농업재해 피하려는 꼼수, 맹탕대책 일관 지적
“피해 규모도 축소…스스로 신뢰 저버려” 비판


[축산신문 전우중 기자]

양봉 역사상 유례없는 꿀벌집단 소멸 및 폐사로 인해 양봉농가가 줄도산 위기 놓여 있는데도 정부는 농가를 위한 대책 마련보다는 피해 현황을 축소하거나 피해 원인을 기후변화가 아닌 농가들의 병해충 관리부실로 규정했다며 양봉농가들이 분개하고 있다.


게다가 농식품부는 이번 사태와 관련해 양봉산업 유지는 물론 시설과채류 농가의 ‘화분매개용’ 꿀벌 공급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양봉업계에서 제기하는 꿀벌 피해 원인으로 기후변화에 대해서도 이번 꿀벌 피해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입증되지 않았다고 밝혀 양봉농가들이 분노하고 있다.


이런 내용의 정부 대책 발표에 앞서 한국양봉협회 대정부투쟁위원회는 꿀벌집단 폐사 문제를 정부와 갈등보다는 소통으로 원만하게 풀어나가려고 했었다. 그러나 이번 정부의 대책안에 실망을 금치 못한다며 그동안 보류했던 정부 규탄 집회(1만여명 참여)를 오는 9일 정부세종청사 농림축산식품부 정문 앞에서 개최키로 했다.

양봉업계는 꿀벌소멸 피해를 이상기후, 농약 살포, 응애류 약품 내성, 등검은말벌 등에 의한 피해가 주된 원인으로 규정하면서 이는 정부 당국의 약품 관리 부실에 의한 피해인데도 모든 것을 농가의 잘못으로 인해 발생한 것처럼 호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응애류 확산의 근본적인 원인은 약제 내성으로 인해 방제가 안 되는 것을 농가의 관리부실로 몰아가는 것은 도저히 용납할 수 없다며, 정작 약제 효능을 관리 감독해야 할 주체가 정부 당국인데도 당사자들이 이런 발표를 해서는 안되는 것 아니잖냐고 꼬집었다.


이와 관련 업계 한 관계자는 “세계 각국에서 일어나는 이상기후 현상을 보면 알 수 있듯이 기후변화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제일 중요한 인류의 과제인데도, 이러한 문제를 우리 농가가 책임져야 할 사안이냐?”고 반문한 뒤 “근시안적인 정부 당국의 역할이 무엇인지 책임 있는 자세로 깊이 성찰하기를 바란다”고 지적했다.

앞서 정부는 2021년 겨울나기(동절기) 전 전국에서 40만 벌무리 피해에 이어 지난해 같은 시기 9월~11월까지 약 40~50만 벌무리가 피해를 본 것으로 추정했다.


또한, 2022년 12월 전체 꿀벌사육 벌무리 수는 247만군으로 전년 동월 269만군 대비 8.2%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발표했었다.

그러나 양봉업계는 피해 규모에 의문을 제기했다. 지난해 양봉협회(2022년 11월 말 기준)가 지역 회원과 비회원 농가를 대상으로 자체 조사한 결과, 전국 1만1천695곳 농가 122만 벌무리 중 65%에 달하는 80여만 벌무리가 피해를 본 것으로 밝혔다.


또한, 조사 이후에도 꿀벌 사라짐 현상은 지속해서 발생했고 이번 정부가 발표한 피해 규모는 도저히 이해가 안 된다는 것이다. 정부는 그동안 피해 실태조사 조차도 하지 않았는데 어떻게 이번 피해가 40~50만 군으로 단정을 지었는지에 대해 그 근거를 공개하라고 요구했다.


정현조 양봉협회 경남도지회장은 “이번 대책안은 알맹이 없는 맹탕 대책”이라면서 “꿀벌은 무리를 지어 하나의 기능적 단위로 군집 생활을 하는 사회적 곤충으로, 적정개체수 이하로 줄어들면 정상적인 벌통이라고 볼 수 없다. 정부는 이번 사태를 ‘농업재해’로 인정하지 않으려는 꼼수에 불과하다. 이제는 농식품부가 스스로 우리의 신뢰를 저버린 만큼, 이후에 발생하는 모든 책임은 농식품부가 져야 할 것”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또한 일부에서는 매년 시설과채류 농가에 공급하는 약60만 벌무리(봉군)에 해당하는 “화분매개용 꿀벌을 내년부터는 공급하지 말자”라는 극단적인 말까지 나오고 있어 이번 사태를 둘러싼 정부와 양봉업계 간 갈등과 불협화음은 점차 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축산신문, CHUKSANNEWS

전우중 jwjung65@naver.com
당사의 허락없이 본 기사와 사진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1962. 6층 (우편번호:08793)
대표전화 : 02) 871-9561 /E-mail : jhleeadt@hanmail.net
Copyright ⓒ 2007 축산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