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기후 여전…“생산량 전년 수준도 기대 어려워"

2024.05.07 16:49:18

남부권 비·강풍 영향 개화 시기 편차 극심
일각선 월동 벌무리 크게 줄어 작황 차질

<현장르포> 아까시꿀 작황 예측 위한 ‘민관합동 현장 조사’

[축산신문 전우중 기자]

요즘처럼 시시각각 변화무쌍한 날씨 변화로 인해 양봉업계는 그야말로 초긴장 상태다. 본격 유밀기를 맞아 양봉농가들의 온통 관심사는 앞으로 펼쳐질 날씨 상황 변동에 예의주시하며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더군다나 지난 3여 간 반복되고 있는 꿀벌집단 폐사 및 꿀벌 실종 사태가 이어져 대부분 농가는 큰 고통을 겪어왔던 터라 현장에서 만난 양봉농가들의 모습에서 웃음기는 전혀 찾아볼 수 없다. 그만큼 힘든 상황에 직면해 있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한국양봉산업발전협의회 주관으로 올해 아까시나무꽃 개화 상태를 점검하고, 아까시꿀 작황을 미리 예측해 보는 ‘민관합동 현장 실태조사’가 전국 3개 권역(남부·중부·북부권역)으로 나뉘어 진행 중이다.
현재 남부권역은 아까시나무꽃이 꽃망울을 터트리기 시작했다. 평년보다 4~5일 정도 빠른 결과다. 첫 일정으로 조사단은 지난 4월 29일 남부권인 경남 함안군, 30일에는 인접한 창녕군 일대 각각 3곳 양봉장에서 올해 아까시나무 생육과 꽃개화 상태를 점검하는 조사를 진행됐다.
현장에 도착한 조사단은 조사 지역의 아까시나무 꽃송이 수, 꽃 개화기간, 벌무리(봉군)당 일벌 활동, 꿀벌 바이러스 감염 여부, 병해충(진드기) 밀도 등 민관합동 실태조사를 순차적으로 실시했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 농촌진흥청은 기후변화에 의한 아까시나무 생육 상태와 생물 계절변화 조사에 사용될 연구용 아까시나무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표식도 달았으며, 이상기후에 따른 꿀벌 이상 현상 조사를 비롯해 꿀벌 비적응 요인도 연구를 통해 분석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가장 복병은 유밀기 동안 날씨 상황이다. 매년 이맘때쯤이면 서리가 와서 아까시나무꽃 냉해 피해도 발생하고 또한 잦은 비와 강풍으로 인해 정상적인 꿀벌의 채밀 활동을 방해하여 벌꿀 생산에 악영향을 주곤 했다.

아쉽게도 첫 조사가 진행된 당일에도 중부 이남과 남부권역에 제법 많은 양의 비가 내려 양봉인들의 부푼 기대감에 찬물을 끼얹지나 않을까 하는 우려감도 적지 않았다. 다만 문제는 올해도 지난해와 비슷하게 기상 상황이 좋지 않다는 것. 아울러 꽃 개화 시기가 같은 지역에서도 편차가 극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러한 우려는 현실로 다가왔다. 아까시나무 하얀 꽃이 만개한 지난 5일부터 7일까지 전국적으로 비와 강풍이 동반되면서 올해 첫 수확을 앞둔 양봉인은 좌절감과 허탈감을 감추지 못하는 모습이었다. 사실상 남부권역은 올해 아까시꿀 생산은 이로써 마무리를 해야만 했다.

이날 한 양봉농가는 “지난 30년간 양봉업을 천직으로 알고 나름으로 열심히 일궈왔지만, 요즘처럼 힘든 시기는 처음 겪는다”며 “지난해도 피해가 심각했지만, 올해가 더 심한 것 같다”고 하소연했다.
그는 이어 “올해는 지난해보다 10통이 줄어든 50통을 채밀 주력군으로 꿀을 생산할 수밖에 없는 처지”라며 “남들보다 병충해 방제도 최선을 다해 열심히 해왔지만, 꿀벌이 자꾸 죽어 나가 갈수록 양봉업이 점점 힘들어진다”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또 다른 농가는 “지난해 12월 초순쯤 월동(겨울나기)에 들어간 봉군(벌무리) 수가 470여 통에 달한다. 그러나 올해 1월 초쯤 봄벌을 깨워보니 절반도 안 되는 210여 통만 남았다”며 “올해는 72통을 채밀 주력군으로 이동양봉을 시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아울러 “최근 기상 상황을 보니 비도 자주 내리고 더군다나 꿀이 많이 생산되려면 따듯한 남동풍·남서풍 바람이 불어야 하는데, 이와 반대로 찬 기온인 북동풍 바람이 자주 불어 올해 꿀 생산은 지난해보다 못할 것 같다”고 전망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

전우중 jwjung65@naver.com
당사의 허락없이 본 기사와 사진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1962. 6층 (우편번호:08793)
대표전화 : 02) 871-9561 /E-mail : jhleeadt@hanmail.net
Copyright ⓒ 2007 축산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