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민병진 기자]
푸르밀 사태에도 낙농가 생산권 보장대책 전무…불안감 증폭
용도별차등가격제 입각 상생 방안 모색 ,정부 중재 역할 필요
원유 계약물량 감축 움직임이 유업계 전반으로 확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영유아수 감소, 유가공품 중심으로의 식습관 변화, 유제품 수입량 증가 등으로 우유 소비가 감소하면서 국내 유업체들의 수익성은 크게 악화됐다.
이에 유업체들은 선택과 집중을 통한 경영효율화로 실적개선에 나서고 있다.
이 중 오너리스크로 기업 이미지에 큰 타격을 입으면서 적자경영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남양유업은 사모펀드인 한앤컴퍼니를 새로운 주인으로 맞이하고 생존전략 모색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일평균 200톤 이상의 잉여유가 발생하면서 이를 처리하는데 한계에 이르자 직속 납유농가에 협조공문을 보내 원유생산량 감축을 요청하고, 남양유업과 거래하는 집유조합을 대상으로 추후 물량 계약 시 30%의 감축이 필요하다고 통보했다.
만약 내년부터 거래물량이 줄어들면 남는 원유를 처리할 뾰족한 수가 없다는 것이 큰 문제다. 당장 다른 납유처를 찾는 것도 현실적으로 어려울 뿐만 아니라 농가들에게 원유생산량을 줄이도록 하는 것도 결국 경제적 손실을 야기할 수 밖에 없다.
물론 원유 계약물량을 두고 협의가 진행 중인 만큼 추후 경과를 지켜 볼 필요는 있지만, 낙농업계에선 이러한 감축기조가 다른 유업체로 번지지 않을까 하는 우려 섞인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다.
실제 매일유업에서도 내부적으로 원유 계약물량 감축 의견이 제시된 것으로 알려져 이러한 불안감을 고조시키고 있다.
농가들 사이에선 푸르밀 사태로 낙농업계에 생산권 보장을 위한 안전장치 부재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됐음에도 지금까지 이렇다 할 구제 방안이 마련되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남양유업에 납유하고 있는 한 농가는 “푸르밀 사태로 납유농가는 쿼터가 휴지조각이 된 채 생업을 잃을 뻔 했다. 앞으로도 이런 일이 얼마든지 벌어질 수 있다는 경각심이 커지면서 유업체가 사업을 유지하기 어려울 때 납유농가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요구가 있었지만, 2년여가 지났음에도 달라진게 없다”고 지적했다.
또, 낙농가들이 대안 없이 생산량을 줄여야 하는 사례가 남겨지지 않도록 상생방안 모색을 위해 정부차원에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는 견해다.
업계 관계자는 “농림축산식품부는 낙농산업 중장기 발전대책을 발표하면서 원유생산량을 200만톤까지 늘리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유업체가 먼저 원유감축을 원하고 있는 이런 상황이 계속된다면 이 목표는 실현될 수 없다”며 “낙농가와 유업체는 떼어놓을 수 없는 관계다. 낙농은 제도의 산물로 용도별차등가격제 원칙과 취지가 지켜질 수 있도록 정부가 나서 상생방안 마련에 역할을 해줘야 한다”고 밝혔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