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한돈시장의 안정적인 확보를 위해서는 세대별 맞춤형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는 지난 6일 ‘소비시장 환경 변화에 따른 돼지고기 경쟁력 분석 및 발전전략’을 주제로 한 연구사업의 최종 보고회를 가졌다.
이번 연구사업의 용역을 맡은 한국축산경영학회에 따르면 ‘베이비 부머 1,2세대’, 즉 40대 이상의 소비자와 20~30대 ‘MZ세대’의 한돈에 대한 소비트렌드와 인식이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일반적인 식습관을 가진 ‘베이비 부머 1,2세대’의 경우 상대적으로 한돈에 대한 충성도가 높은 ‘우호목표시장’ 으로 분류할 수 있는 반면 MZ세대의 경우 수입돈육이나 인공축산식품 등의 소비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은 ‘확보 목표 시장’으로 접근, 마케팅도 철저히 차별화 돼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우호목표시장의 ‘베이비 부머 1세대’에 대해서는 고령이라는 특성을 감안한 간편식 개발과 함께 체험을 통해 재미를 느끼고 새로움을 경험할 마케팅 제공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 우호목표시장의 ‘베이비 부머 2세대’의 경우 스토리텔링을 통한 한돈소비 유지 방안이 적합하다는 분석이다.
축산경영학회는 이와달리 ‘확보목표시장’인 MZ세대에 대해서는 가치소비를 중시하는 만큼 바이럴 마케팅의 활용과 함께 선제적 환경문제 해결, 동물복지 축산물 등 친환경적 한돈산업 이미지의 각인을 위한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1인가구 증가 추세를 겨냥한 소포장, 소용량 제품 개발 및 홍보전략의 수립도 필요한 것으로 분석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