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서동휘 기자]
검역본부 학술 토론회 개최…발생 동향·백신 개발 현황 등 공유
최근 고병원성AI의 포유류 감염 관련 우려와 관련해 산·학·관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댔다.
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김정희)는 지난 4월 24일 검역본부에서 ‘포유동물 인플루엔자 학술 토론회(심포지엄)’를 개최했다.
이번 학술 토론회는 포유동물 유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국내 현황과 인수공통감염병으로서의 확산 가능성에 대한 선제 대응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토론회에선 포유동물뿐만 아니라 사람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고병원성AI의 최신 연구 결과와 과학적 대응 방안이 공유되었으며, 질병 전파 경로와 방역 전략 전반에 걸친 발표와 토론이 있었고 ▲포유동물 인플루엔자의 팬데믹 가능성과 백신 개발 전략 ▲인체감염을 대비한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응전략 ▲동물 단계 인플루엔자 대응 농림축산식품부 전담 조직(TF) 운영 현황 ▲국내외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동향 ▲돼지 및 개 인플루엔자 관련 백신 개발 현황 ▲포유동물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 발생 및 국내 모니터링 결과 등이 소개됐다.
이날 참석한 전문가들은 세계적으로 포유동물에서의 고병원성AI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 주목하며, 인수공통감염병으로의 전파 가능성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과학적 감시체계 구축, 농장 차단 방역 강화, 차세대 백신 개발 등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했다.
김정희 검역본부장은 “이번 토론회는 포유동물 인플루엔자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돕고, 이를 바탕으로 방역 체계의 정교화를 도모하는 의미 있는 자리였다”면서 “앞으로도 관계기관과의 협력 및 정보 공유를 통해 포유동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확산 방지와 팬데믹 대비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