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발 구제역 바이러스 어디서 왔나…‘난항’

[축산신문 서동휘 기자] 20여년간 구제역 청정지역으로 불려온 전라남도에 구제역이 발생해 충격을 주고 있다. 더군다나 바이러스 유입경로가 특정되지 않아 방역 당국과 축산농가에서는 비상 상황이다. 더 이상 확산되지 않도록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13일 영암군의 한 농가에서 키우던 한우 4두가 구제역으로 확진돼 184두를 살처분했고, 14일 영암군의 다른 농장 3곳에서는 한우 62두가 확진돼 살처분됐다. 이어 15일엔 무안군의 농가에서도 확진, 사육중이던 88두를 전체 살처분했고, 17일 영암군 농가 3호에서 추가 발생이 확인돼 조치가 이뤄졌다. 처음 구제역이 발생한 농가 방역대(3km) 이내 345곳에서 소, 돼지, 염소 등이 6만2천두가 사육되고 있어 불안감은 더 커지고 있다. 문제는 이번 구제역 발생이 기존 발생 사례와는 달리 바이러스 유입경로 파악에 애를 먹고 있다는 부분이다. ’23년 충북 구제역과 다른 유형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첫 발생지인 영암의 양성축 혈청 검사 결과 이번 감염된 바이러스가 지난 2021년 몽골에서 유행했던 바이러스와 상동성이 높다. 몽골형은 구제역 7가지 혈청 중 한국, 중국, 베트남 등지에서 주로 발생하는 O형 혈청으로 지난 2023년 충북 청주와 증평에서 발생한 구제역과는 다른 유형. 이에 업계 전문가들은 사람을 통한 해외유입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한 수의 전문가는 “이번에 발생한 구제역의 바이러스는 기존 국내서 발생했던 바이러스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면서 “해당 바이러스가 어떻게 유입이 됐는지 알 수 없어 경로파악이 힘들다. 다만 2월 중순께 해당 바이러스가 국내에 유입됐을 것으로 조심스럽게 추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발생농장들이 방역에 소홀했다고만은 볼 수 없다. 전남 농가들의 백신 접종률이 높기 때문”이라면서 “백신 접종 후 면역력이 떨어진 시점에 감염됐거나, 소들이 태어나서부터 한 농장에서 사육되지 않기에 이동 중 공백(추가 접종 미흡 등)이 발생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외국인 근로자 관리도 강화 한편, 농식품부와 전남도는 추가확산을 막기 위해 총력을 펼치고 있다. 영암과 무안 발생 농가 반경 10㎞ 내 위험지역 소와 돼지, 염소 등 우제류 18만 마리에 대한 백신접종을 지난 17일까지 마무리했고 현재 42% 수준인 22개 시·군 전체 168만1천두에 대한 백신접종도 오는 22일까지 100% 완료할 계획이다. 또 3km 방역대에 300여명, 전남도내 전체 유제류 사육농가에 1천943명의 전담공무원을 각각 배치하는 한편, 혹시 모를 해외유입을 막기 위해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관리도 강화하고 있다. 신속한 백신 접종·철저 소독을 농식품부 송미령 장관은 “구제역은 확산이 매우 빠른 질병으로 신속한 백신 접종과 철저한 소독 등 차단방역이 절실하다”면서 “순환하는 바이러스가 축산농장 내로 유입될 가능성이 큰 시기다. 농장뿐만 아니라 축산시설과 축산차량도 꼼꼼히 살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

2025-03-19
일선 축협, 내실경영 집중…악재 딛고 건전 결산 이뤄

[축산신문 신정훈 기자] 139개 축협 경제사업 22조8천억원 조합당 평균 경제사업 1천640억원 상호금융 사업 규모 총 142조원 넘어 전국 축협의 2024년 경제사업 물량이 총 22조8천54억원으로 집계됐다. 2023년 22조3천605억원에서 4천449억원이 늘어났다. 139개 축협의 평균 경제사업 물량은 1천640억원에 달했다. 전체 축협의 당기순이익은 2천448억원으로 나타났다. 상호금융 사업 규모(예수금+대출금)는 142조5천526억원으로 전년 136조7천587억원에서 5조7천939억원(4.23%)이 증가했다. 당초 예상 달리 적자폭 크게 메워 경기침체와 축산물 가격하락 및 소비 부진, 원-달러 환율과 생산원가 상승, 불확실한 경제 상황 등 여러 가지 악재에도 불구하고 축산농가 조합원 실익과 내실 경영에 집중해 온 일선축협은 경제사업 실적 증가와 함께 지난해 사업결산을 마무리했다. 물론 지난해 사업결산에서 일부 어려움을 겪은 축협도 있었지만 당초 예상보다 적자 폭을 크게 메우면서 전체적으로 선방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판매사업 큰 폭 상승세 돋보여 2024년 축협 경제사업 실적을 분야별로 살펴보면 구매사업은 4조2천209억원으로 전년 4조5천326억원에서 3천117억원 줄었다. 판매사업은 11조6천59억원으로 전년 10조6천975억원에서 9천84억원 늘었다. 마트사업은 1조8천565억원으로 전년 1조8천861억원에서 296억원 줄었다. 가공사업도 4조4천406억원으로 전년 4조6천81억원에서 1천675억원 줄었다. 생장물사업은 2천989억원으로 전년 2천787억원에서 202억원 늘었다. 구매사업과 가공사업이 전년과 비교해 크게 줄었지만 판매사업에서 9천억원이 넘는 큰 폭의 상승세를 나타냈다. 2024년 시도별 축협 경제사업 물량은 경기도가 3조9천263억원으로 가장 컸다. 강원은 1조944억원, 충북 8천401억원, 충남 3조377억원, 전북 1조3천364억원, 전남 2조5천238억원, 경북 3조969억원, 경남 3조1천483억원, 제주 6천683억원, 서울 2조8천150억원, 부산 722억원, 인천 880억원, 대전 473억원, 울산 1천106억원이다. 서울우유·부경양돈·도드람 ‘빅3’ 경제사업 전국 10위 축협을 살펴보면 서울우유농협(조합장 문진섭) 2조996억원, 부경양돈농협(조합장 이재식) 1조5천470억원, 도드람양돈농협(조합장 박광욱) 1조4천902억원, 대전충남양돈농협(조합장 이제만) 8천703억원, 수원축산농협(조합장 장주익) 4천786억원, 대구축산농협(조합장 최성문) 4천753억원, 안동봉화축협(조합장 전형숙) 3천624억원, 제주축산농협(조합장 천창수) 3천68억원, 김해축산농협(조합장 송태영) 2천921억원, 논산계룡축산농협(조합장 정창영) 2천781억원 순이다. 이들 10개 축협 경제사업 물량은 8조2천4억원으로 전체 139개 축협 중 35.95%의 비중을 차지했다. 상위 3위권에 들어간 서울우유농협, 부경양돈농협, 도드람양돈농협의 경제사업 물량은 5조1천368억원으로 전국 축협 물량 중 22.52%의 비중을 차지했다. 상위 10위 축협을 놓고 사업 분야별로 보면 도드람양돈농협이 구매사업 3천697억원, 판매사업 1조645억원으로 두 개 분야에서 1위를 달렸다. 마트사업에선 대구축산농협이 838억원으로 1위였다. 서울우유농협은 가공사업에서 1조5천960억원으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전체 물량 2위인 부경양돈농협은 가공사업(5천197억원)과 판매사업(9천552억원)에서 다른 조합은 압도하면 강세를 보였다. 전체 4위인 대전충남양돈농협은 판매사업(6천460억원)에서 강한 면모를 나타냈다. 전국 축협 2024년 상호금융사업을 살펴보면 예수금의 경우 평잔 기준으로 78조6천726억원으로 전년 75조1천504억원에서 3조5천222억원 증가했다. 대출금 평잔은 63조8천800억원으로 전년 61조6천83억원에서 2조2천717억원이 늘었고, 정책대출금 평잔은 5조6천592억원으로 전년 4조9천383억원에서 7천209억원이 증가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

2025-03-12
지역-민간 주도 자율방역 초점…인수공통전염병 관리도 강화

[축산신문 서동휘 기자] 방역 인프라 확충·예방 효율화·소모질병 밀착대응 농림축산식품부는 시대 변화에 따라 방역 정책도 손질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지난 5일 ‘중장기 가축방역 발전 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의 주요 골자는 가축전염병으로부터 안전한 청정 축산 실현이 목표다. 이를 위해 농식품부는 지자체, 생산자단체, 현장 전문가 등의 의견 수렴을 거쳐 ▲자율방역 강화 ▲사전예방 시스템 효율화 ▲신종 전염병·소모성 질병 등 대응강화 ▲방역 인프라 확충 등을 주요 과제로 설정했다. 지역 주도 자율방역체계 구축 방역대책에 따르면 자율방역을 강화, 정부 주도 방역에서 지역-민간 주도 방역으로 전환하는 것이 정부의 가장 큰 목표다. 이를 위해 지자체는 지역 여건별 맞춤형 방역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정부는 지자체의 계획 이행을 관리·지원하는 지역 주도 자율방역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지자체의 방역대책을 평가, 우수지자체에 대해 오는 2026년부터 방역 관련 사업을 우선 지원하는 등 지자체 평가 및 환류를 강화하는 동시에, 방역인력 교육, 농식품부·지자체 합동 가상방역훈련 등을 통해 지자체의 가축방역 대응을 지원하고, 교육·캠페인·인센티브 등을 연계시켜 농가 단위 차단방역을 강화할 계획이다. 가축전염병 사전 예방 기능 강화 이와 함께 가축전염병 발생에 따른 가축 살처분, 물가 상승 등의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축전염병의 사전예방 기능을 강화한다. 먼저 스마트 방역을 추진, 지난 2024년 말부터 고병원성 AI에 시범 적용 중인 인공지능 활용 위험도 평가를 올해는 ASF까지 확대하는 한편, 위험도 평가지표를 다양화·고도화해 평가 정확도를 개선해 나갈 예정이다. 또 축산차량 통행량, 가축전염병 발생 정보 등 국가가축방역통합시스템(KAHIS) 내 방역 정보를 오는 2026년부터 민간에 공개하고, 질병 분석·예측 고도화 등을 위해 차세대 국가가축방역통합시스템 전환 로드맵을 마련한다. 신규 유입 우려 질병대응 강화 한편, 주요 가축전염병 이외의 신규 유입 우려(신종) 및 소모성 질병 등의 대응도 강화할 계획인데, 국내 유입 가능성이 높은 가성우역, 아프리카마역 등에 대한 대비 체계를 선제적으로 구축한다. 바이러스 국내 유입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예찰을 추진하는 동시에 해당 질병의 백신을 비축하고, 긴급행동지침(SOP)도 각각 마련한다. 아울러 사람에게 전파될 수 있는 가축전염병(인수공통전염병)에 대한 관리도 한층 강화할 계획다. 현장 맞춤형 연구개발 강화 마지막으로, 효율적인 가축전염병 예방 및 관리를 위해 제도 정비, 인력 확충 등을 추진하면서 현장 맞춤형 연구개발을 강화한다. 현재 명확한 기준이 없이 1종~3종까지 단순 분류된 법정 가축전염병들을 치명률, 전파력 등을 고려해 분류기준을 구체화·재분류하고, 새로운 분류기준과 질병 위험도 등에 맞게 일시이동중지, 살처분 등 주요 방역 조치도 축종별로 차등적용 할 수 있게 체계화시킬 예정이다. 송미령 장관은 “이번 대책은 특정 가축전염병이 아닌 예방-발생대응-사후관리를 포괄하는 방역 정책을 다룬 데 큰 의미가 있다”면서 “정부는 이번 대책을 차질 없이 추진시켜 가축전염병 발생 및 피해를 최소화해 나갈 것이다. 지자체와 민간에서도 지역-민간 주도 자율방역으로의 전환을 위해 노력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

2025-03-05
"발전 과제 발굴 지속 소통...당당한 축산 이루자"

[축산신문 서동휘 기자]=정부가 축산농가의 경영 안정을 위해 다양한 지원 방안을 마련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5일 제2축산회관에서 김종구 식량정책실장 주재로 개최된 ‘축산 단체장 간담회’서다. 간담회에는 한우·한돈·낙농·가금 등 품목별 축산 단체장과 농협 관계자 등이 참석했으며, 이날 농식품부는 ▲축산업의 중장기적 발전 ▲축산분야 탄소중립 전략 이행 방안 ▲사전 예방 중심의 가축방역 등 2025년 축산·방역 업무 추진계획을 설명하고 의견을 수렴했다. 농식품부는 앞으로도 △한우 수출 활성화 등 신 소비 시장 개척 △원유 생산비 저감을 위한 인센티브 개편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양돈 냄새 저감 및 사육환경 개선 △산란계 사육 면적 확대 등 품목별 현안 과제들에 대해 관련 단체와 충분한 논의를 거쳐 해결 방안을 마련해 나갈 계획을 밝혔다. 아울러 민간 주도의 자율방역을 강화하기 위해 방역 우수농장에 대한 인센티브를 확대하고, 외국인 근로자 등에 대한 방역 교육을 강화하는 동시에, 신종 가축 전염병의 국내 유입에 대비한 백신 비축, 긴급행동지침(SOP) 마련 등을 추진할 계획도 내비쳤다. 축산관련단체협의회 손세희 회장은 “축산업계의 당면 과제 해결을 위해서는 정부와 생산자 단체간의 정기적 소통 채널을 마련하여 꾸준히 협력해 나가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면서 “축산업 발전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바란다”고 말했다. 이에 농식품부 김종구 식량정책실장은 “정부는 우리 축산 농가의 경영 안정을 위해 다양한 지원 방안을 마련하여 추진할 것”이라면서 “앞으로도 현장과의 적극적인 소통으로 국민으로부터 사랑받는 당당한 축산업으로 거듭나는데에 필요한 발전 과제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논의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축산신문, CHUKSANNEWS

2025-02-26





















주소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1962. 6층 (우편번호:08793)
대표전화 : 02) 871-9561 /E-mail : jhleeadt@hanmail.net
Copyright ⓒ 2007 축산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