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전국 농축산인들이 아스팔트 위에서 생존권 사수를 위한 대정부 투쟁의 깃발을 올렸다. 축산관련단체협의회·한국농축산연합회·한국종합농업단체협의회·농민의길 등 주요 농축산단체들은 지난 7월 28일 용산 대통령실 인근 삼각지파출소 앞에서 ‘한-미 상호관세 협상 농축산물 개방 반대’ 전국 농축산인 결의대회<사진>를 개최했다. 이번 결의대회는 지난 7월 18일 우천 기자회견에 이은 대정부 투쟁으로, 산업통상자원부가 미국과의 협상 과정에서 농축산물 양보 가능성을 시사하고 상호관세 부과 유예 시한인 8월 1일을 앞두고 실제로 그런 방향으로 협상이 타결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면서 농축산인들의 분노가 폭발한 결과다. 이날 결의대회에는 약 1천여 명의 농축산인이 집결, 정부의 ‘농업 패싱’ 밀실 협상과 농업 희생을 지렛대 삼는 협상 전략을 강력히 규탄했다. 참석한 대표 농축산단체장들은 한-미 관세 협상에서 농축산물 개방을 반대하는 건의문을 대통령실 관계자에게 직접 전달했다. 농축산단체장들은 “지난 수마로 인해 생업터전 복구가 시급한 엄중한 상황에서, 아스팔트로 내몰린 농가들의 고통은 감내하기 어려운 수준”이라며, 정부를 향해 강한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이들은 “미국산 농축산물은 이미 한미 FTA로 전면 개방된 마당에 관세 추가 인하 및 비관세 장벽까지 철폐된다면 농민 생존권 말살과 함께 국내 농업 생산 기반 붕괴는 시간문제일 것”이라고 경고했다. 특히, 미국산 쇠고기에 대한 수입 연령 제한(30개월 이상)과 사과에 대한 식물 검역 등은 국내법과 WTO 국제협정에 따른 정당한 조치이자 국민 건강과 직결된 문제이므로 절대 포기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또한, 국민의 주식인 쌀과 대두 등 주요 식량작물의 관세 인하나 저율관세할당 물량 확대는 식량 주권을 상실시키는 중대한 사안이라고 성토했다. 농민단체의 한 관계자는 “최근 미국과 협상을 타결한 베트남, 영국, 일본 등 여러 국가들이 농축산물 개방을 약속한 상황에서 한국 역시 같은 수순을 밟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크다”고 전했다. 이에 농축산물을 협상 대상에서 제외하여 식량주권과 국민건강권을 반드시 사수할 것을 정부에 강력히 촉구했다. 주최 측 관계자는 “최근 2+2 재무·통상장관급 회담 불발 등 미국과의 관세 협상이 공전하는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농민들의 요구가 묵살될 경우 대대적인 추가 농민 항쟁을 전개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농민들은 오는 8월 1일 미국이 한국의 대미 수출 상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압박하며 농축산물 추가 개방을 강요하고 있음을 지적하며, 통상 당국이 철강, 자동차 등 주요 수출 품목의 관세 인하를 위해 농축산업을 희생양으로 삼는 것이 아닌지 의구심을 표했다. 산업통상부 김정관 장관은 지난 7월 17일 인사청문회 당시 농축산물 시장 개방의 민감성을 잘 알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에 농민들은 정부가 그간의 통상 협상에서 농축산인의 희생을 알면서도 말이 아닌 행동으로 보여줄 때라고 강력히 촉구하고 있다. 이들은 구윤철 기획재정부 장관,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에게 “농축산인의 눈물이 대한민국 전체를 질식시킬 수도 있음을 분명히 인지하고 협상에 임하라”고 경고하며 “농심을 외면하고 농축산물 관세·비관세 장벽을 허문다면 8월 1일을 대한민국 농축산업의 기일(忌日)로 정하고 대대적인 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천명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
2025-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