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멧돼지‧사육돼지 구분…SOP 수정 검토를
ASF 발생 상황에 따라 전국을 16개로 권역화 하겠다는 정부 방침에 대한 논란이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수의전문가들 사이에서도 부정적인 시각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지난달 27일 서울 서초동 제2축산회관에서 열린 대한한돈협회 ASF 방역대책 전문가회의에서도 정부의 권역화 방침에 깊은 우려가 이어졌다.
일부 참석자는 권역화 방침 자체가 전면 철회돼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국내 양돈산업에 미칠 여파가 큰 사안임에도 전국의 권역화 요건은 물론 개시 및 종료시점 조차 명확치 않은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한 참석자는 “야생멧돼지와 사육돼지의 방역조치는 분명히 구분돼야 한다. 야생멧돼지 때문에 권역화를 한다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며 “정부가 부득이 권역화를 고집한다면 이에따른 농가손실 지원도 필수적으로 뒤따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행 방역대 축소 등 ASF SOP가 보다 과학적이고, 현실적으로 개정돼야 한다는 주장에도 전반적으로 공감대가 형성됐다.
ASF 발생 우려가 높은 지역을 대상으로 이뤄지고 있는 ‘ASF 중점방역관리지구’ 지정기준의 문제점도 지적됐다. ‘우려’에 대한 객관적인 기준이 없다는 것이다.
특히 비발생 지역에 대한 적극적인 개체수 조절과 폐사체의 신속한 검색 및 제거 등 실질적인 야생멧돼지 ASF 대책과 함께 광역울타리 보다는 양돈농가 주변 울타리 설치와 농가 관리에 보다 더 집중해야 할 것이라는 제안도 이어졌다.
한돈협회 김정우 부회장 주재로 이뤄진 이날 회의에는 강원대학교 박선일 교수, 전북대 조호성 교수, 서울대 이성민 박사, 도드람양돈연구소 정현규 박사, 야생생물관리협회 이명재 사무국장 등이 참석했다.
한돈협회는 이번 회의에서 제기된 내용을 토대로 ASF방역개선대책을 마련, 정부에 촉구할 계획이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