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부터 육계자조금이 시행되고 있지만, 농가는 물론 담당공무원 조차 여전히 자조금 사업에 대한 홍보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15일 양계협회 회의실에서 열린 대한양계협회 육계분과위원회 월례행사<사진>에서 이홍재 위원장은 “현장에서는 자조금을 왜 거둬야 하는지, 어떻게 쓰이는 지 등에 대한 궁금증이 쌓여있다. 특히 자조금 사업을 담당하는 지자체 공무원들이 되려 농가들로부터 자조금 사업을 배울 때가 많다”며 교육과 홍보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또 “아직까지 자조금에 대한 인식차이가 크다. 지역별 간담회와 설명회를 지속적으로 개최해 자조금 사업의 의미와 효과를 알려나가야 한다”고 제시했다. 한 분과위원은 “거출의 독려를 위해서 지자체 지원사업과 연계해 자조금 미 참여 농가에게는 지원사업을 배제하는 방안을 마련, 참여율을 높여야 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한편 분과위에서는 불량병아리 때문에 농가와 업체간의 분쟁이 일어나는 등 불량병아리 문제를 지적했다. 위원들은 “병아리 이력제가 대안이다. 병아리 이력제에는 종계의 품종, 주령, 백신프로그램, 종계장과 부화장의 현황 질병모니터링검사 등을 의무적으로 담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병아리 문제와 사료 문제 등 공정하게 판단할 수 있는 분쟁조정위원회를 구성해 계열업체와 농가가 모두 피해를 보지 않도록 해야한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