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호 교수(서울대 수의과대학)원유의 품질을 결정하는 위생등급제도가 국내에 정착한 역사는 그리 오래된 것은 아니다. 지방 함유량으로만 유대를 지불하는 고전적 방법에서 탈피한 위생등급제도는 공교롭게도 일명 ‘고름우유’ 사건으로 인하여 우리나라에서 빛을 보게 되었다. 선진 낙농국에서와 같은…
정영철 대표(정피엔씨 연구소)세계 주요 돈육 수출국가의 돈가가 브라질을 제외하고는 2015년 초부터 하락하고 있다. 특히 세계 3대 돈육 수출국인 유럽연합, 미국, 캐나다의 2015년 1분기 돈가가 크게 하락하고 있다. 유럽연합은 전년 동월보다 14%, 미국은 20%씩 각각 낮았다. 특히 미국의 4월 돈가는 전…
양 창 범 박사(농진청 국립축산과학원)지난 4월 13일 농림축산식품부에서 발표한 ‘2014 농림수산식품 주요통계’에 따르면 2013년 기준 우리나라 국민의 1인당 평균 육류 소비량은 42.7kg이다. 이는 한사람이 하루에 약 117g을 먹는 셈으로, 30년 사이 4배 가까이 증가한 것이다. 육류소비량은 비단 우…
류경선 교수(전북대)1. 농업에 LED 적용 배경2030년에 식품 수요는 지금보다 약 2배 증가할 것이다. 이러한 수요를 충당하려면 생산자들은 새로운 기술을 적용하여 생산성을 증대하고 생산비용을 낮추려고 노력할 것이다. 대부분의 그러한 최신 기술에는 물, 공기, 영양, 축사 등이 다양하게 포함되어 적용…
윤 성 식 교수(연세대학교)‘이xx PD가 간다, 그릭요구르트’라는 프로가 불면에 시달리던 필자의 시선을 끌었다. 그렇지 않아도 국내 유제품 업계가 판매부진으로 불황에 허덕이던 참이어서 그 방송에 더 호기심이 많았다는 표현이 적절하겠다. 그러나 방송을 보고난 다음 가슴이 답답해지고 한숨이 나왔다…
김진만 교수(건국대 축산식품공학과)인구 20억 명에 달하는 무슬림을 대상으로 한 식품시장이 최근 새로운 블루오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는 기존 할랄(Halal)식품을 섭취해 왔던 무슬림과 더불어 안전하고 청결한 음식이라는 이미지 때문에 할랄 식품을 찾는 비무슬림 또한 증가하는 추세이다. 할랄(Ha…
박용호 교수(서울대 수의과대학)최근 조류인플루엔자, FMD 등 국가 재난형질병의 창궐에 따른 감염병과 더불어 일본 후쿠오카 방사능 오염, 비식용 달걀의 식품사용, 봄철 식중독감염 등에 따른 식품안전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과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식품은 우리가 매일 접하는 것이니만큼 조그마한…
신창섭 회장(한국양돈수의사회)지난해부터 시작된 FMD 발생은 아직까지 멈추지를 않는다. 봄은 다가오지만 아직 축산현장은 춥다.질병이 발생하는 있는 현장이나 대책을 마련하는 정부나 차단방역을 이야기하고 있다. 양돈장을 운영하는 입장에서 차단방역은 언뜻 느껴지기에 번거롭고 비용만 드는 것으로…
정영철 대표((주)정PC연구소)한국형 종돈의 정의는 무엇인가?산자수 등 번식성적과 일당 증체중 등 산육성적이 최소한 수입종돈과 동일한 수준이거나 격차가 난다면 따라잡는 계획과 기간을 설정해 잠재적으로 외국산 종돈과 동일한 수준에 도달 할 수 있는 종돈일 것이다.우선 2013년 기준 덴마크와 한국…
주선태 교수(경상대학교 축산학과)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조합장 선거가 끝났다. 전국 1326개의 농·축협, 수협, 산림조합은 새로운 조합장의 선출을 끝내고 이제 새로운 시대를 시작한다. 하지만 그동안 선거운동 과정에서 드러났던 수많은 불미스러운 일들로 인해 각 조합들의 앞날이 순탄해보이지만은 않…
정영철 대표(㈜정피엔씨연구소)FMD 발생 숫자가 좀처럼 줄어들지 않고 매일 1~2건씩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2월 말 현재, 소농장 4개소 포함 116개농장에서 발생해 총 10만여두가 살처분 되었다. 지난해 12월 3일 첫 발생으로부터 2개월이 지나도 점차 감염지역이 확대되면서 생산자 입장에서 두 가지…
이중복 교수(건국대 수의과대학)충북 진천에서 발생한 FMD가 현재 경북, 경기도, 충남 등으로 확산되고 있다. 4년 전 FMD 발생과 다른 점은 전국적으로 백신을 접종하고 있는 상황에서 발생했다는 것이다. 4년 만에 FMD가 발생하자 필자를 포함한 전문가 그룹은 이 발생의 원인이 백신 접종을 철저하게 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