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격동의 세월 속에서 대한민국 축산업은 양적, 질적으로 놀라운 발전을 이루며 국가 경제의 중요한 한 축으로 자리매김했다. 40년 전, 가내수공업에 가까웠던 축산은 이제 국가 기간산업으로 자리매김하며, 세계와 경쟁하는 첨단 산업으로 성장했다. 소득 증가와 식생활 변화는 축산물 소비 확대를 이끌었고, 산업 규모는 눈부신 성장을 기록했다. 국내 사육 두수와 생산량은 꾸준히 증가했고, 축산물 유통과 가공·수출까지 영역을 넓히며 산업의 외면을 확장했다. 최근에는 ICT 기반 스마트팜, 인공지능 사양관리, 친환경 축산 기술이 빠르게 도입되면서, 축산업은 더 이상 ‘전통적 농업’이 아닌 ‘미래 산업’으로 변모하고 있다. 특히 한류 확산과 맞물린 K-축산물의 수출 확대는 산업 세계화를 상징하는 성과로 꼽힌다. 이는 끊임없는 기술 혁신과 축산농가의 땀방울이 만들어낸 위대한 성과다. 눈부신 성장 뒤에는 숙제도 남았다. 구제역,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등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가축전염병은 산업 전체를 흔들며, 막대한 방역 비용과 농가 피해를 초래했다. 탄소중립과 ESG 경영이 세계적 흐름으로 자리잡으면서, 축산업은 환경 부담을 줄이고 지속가능한 생산 체계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