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김영길 기자] ‘PCV M’, 써코·마이코 혼합백신 ‘새 강자 급부상’ ‘PCV ID’, 피내접종 면역유도…접종 후 23주 지속 한국엠에스디동물약품이 내놓고 있는 ‘포실리스 PCV M’은 국내 써코바이러스 백신 시장 양대축 중 하나다. 최근 3~4년 사이 폭발적으로 판매량이 늘며, 이 시장 강자로 급부상했다. ‘포실리스 PCV M’은 써코바이러스 질병(PCV2)과 마이코플라즈마성 폐렴(M. hyo)을 동시에 예방하는 혼합백신이다. 혼합백신이기에 장점이 많다. 당장 두 백신을 한번에 접종하니 일손이 줄어든다. 섞지 않아도 되는 형태라 접종도 간편하다. 돼지 입장에서는 접종 스트레스를 덜 받는다. 동물복지를 실현한다. 백신 효능은 단일 백신에 전혀 뒤지지 않는다. 3주령에 단 1회(2ml) 접종하는 것만으로도 써코의 경우 25주령까지, 마이코플라즈마는 24주령까지 면역력이 지속된다. 수많은 실험과 현장적용을 통해 바이러스 양 감소와 증체율 개선 등 생산성 향상 효과를 확고히 입증받았다. 안전성 역시 탁월하다. 백신에 탑재돼 있는 이뮤네이드 부형제는 빠르고 더 긴 면역력을 갖게 한다. 또한 과민반응 등 부작용을 없앴다. 나라장터 종합쇼핑몰에 등록된 14
[축산신문 김영길 기자] 프로틴A, 불필요 단백질 제거…메타스팀, 최고역가 형성 질병 예방·생산성 개선…현장서 확고한 효과 입증 한국조에티스가 내놓고 있는 ‘포스테라 PCV MH’는 써코·마이코 혼합백신이다. 섞어 쓰지 않아도 되는 혼합백신인 만큼 편리하다. 비용과 노동력을 줄일 수 있는 좋은 방법도 된다. ‘포스테라 PCV MH’는 기존 두개 백신을 단순히 합친 것이 아니라 아예 처음부터 개발한 새로운 백신이다. 그렇기에 ‘포스테라 PCV MH’에는 혁신 기술이 가득 담겨있다. 예를 들어 단일백신의 경우 큰 문제가 없으나 써코·마이코 혼합백신에서는 마이코플라즈마 백신 내에 함유돼 있는 써코바이러스 항체 등이 써코바이러스 백신 면역 역가를 떨어뜨릴 수 있다. 이를 해결하려고 조에티스는 첨단 인체제약 기술을 들여왔다. ‘포스테라 PCV MH’는 인체제약사에서 사용하는 IgG정제 기술인 ‘Protein A Technology’를 적용해 써코바이러스 항체 등 불필요한 단백질을 제거한다. 이를 통해 ‘포스테라 PCV MH’는 보다 확실한 방어효과를 갖게 됐다. 조에티스는 또 오랜 연구개발 끝에 수많은 부형제 중 최적의 백신 부형제 ‘메타스팀’을 찾아냈다. ‘메타스팀
4. 국내 축산 기자재 산업의 발전 방안(2) 이후 축산 농가 지원자금의 효율성을 위하여 품질이 인증된 제품의 사용을 유도한다. 그와 함께 정부는 차후 각종 지원 사업 등에서 이러한 제품들의 구매를 명시하도록 한다. 스마트팜의 경우, 스마트팜코리아 제Ⅰ장 축산 기자재 산업의 현황 및 발전 방안 19(smartfarmkorea.net)의 웹사이트를 통해 스마트팜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축산 기자재 업체 정보, 확산 보급 사업에 해당하는 ICT 장치 품목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셋째, 축산시설, 기계 산업의 기능 강화 및 효율성에 따른 차별화를 통 해 국내 환경에 적합한 시설 및 기계의 도입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국내 축산시설, 기계 산업의 육성 방안으로 국제경쟁력이 있는 부분에 대한 집 중 육성과 지원 정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또한 FTA 관련 친환경 축산, 안전 축산물 생산 및 고품질 축산물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관련 품목들에 영세율이 적용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확대 적용한다. 넷째, 축산시설, 기계의 비용 절감을 위한 규모별, 유형별 표준모델(안) 개발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연구소, 학계, 생산자단체, 협회, 업체의 공동협의체를 구성하여 생산성 향
[축산신문 박윤만 기자] 해외 우수 조사료 장비를 직수입 공급하고 있는 명진아그리텍(대표 김건태)은 이탈리아 FARESIN 버티컬 사료배합기와 자회사인 ITPhotonics사에서 개발한 휴대용 사료즉석분석기 ‘포리스펙(polispec)’을 수입, TMR사료공장, 배합사료 공장과 낙농가, 조사료 영농법인 대상으로 공급하고 있다. 이탈리아 파레신 버티컬 사료배합기는 국내 실정에 맞게 볏짚과 같은 억세고 섬유질이 높은 조사료의 배합에 적합하다. ‘포리스펙’은 베일러, 조사료 수확기, 콤바인 등 조사료 수확기간 중 작물내 영양성분을 실시간 검사할 수 있는 휴대용 분석 장비로 측정기 센서와 태블릿이나 노트북 또는 PC가 1셋트로 현장에서 이동하면서 조사료를 측정할 수 있는 장비이다. 이탈리아 FARESIN 버티컬 사료배합기 배합 효율·기호성 ‘업’…고장률 적어 버티컬 배합기는 배합 대상 사료를 하부(아랫부분)에서 상부(윗부분)로 올리면, 바깥쪽으로 자연 낙하되면서 배합되는 구조로 구조가 간단하며, 배합 효율이 좋고, 배합용량이 크다. 특히 볏짚과 같이 섬유질이 많은 사료는 짓이김(연화) 현상으로 사료가 부드러워지며, 기계의 고장 발생률이 적다. 오거형 수평식보다 고품
[축산신문 박윤만 기자] 부산물 원료, 고온 스팀으로 쪄 살균 소화율·육질 향상…생산비 크게 줄여 송아지 설사병 예방…분변 냄새 저감 지난해에 이어 코로나19 팬데믹과 오미크론은 소비심리를 위축시키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의 영향으로 국내 사료업계가 직격탄을 맞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전 세계적인 한파와 이상기온으로 곡류 가격이 급등하고 있으며, 조사료 생산량도 감소하여 가장 비쌌던 수준으로 가격이 급등하고 있는데도 앞으로 더 오를 전망이다. 이에 따라 젖소와 한우를 사육하는데 생산비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사료가격 등 생산비 절감 노력이 필요한 시기이다. 이럴 때 농가에서는 육질 등급과 출하 체중도 높이는 생산성 향상이 병행되어야 전체적인 생산비를 낮출 수 있다. 축산농가에서는 먼저 사료용 곡물가 급등에 따른 사료비 절감 방법으로 단미사료의 사료적 가치 평가 및 부존자원의 사료 자원을 탐색하여 사료 자원을 확보하고, 자급사료 및 농산가공 부산물을 이용한 한우용 섬유질배합사료 활용과 자가TMR를 농가에서 제조하는 기술을 이용해야 한다. 번식우는 발정 발현 시기 조절에 따른 계획번식을 실현하여 수태율을 개선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최적 사육에 의한 초산 시기 적
[축산신문 박윤만 기자] 국내유일 완제품 수입…유지관리 용이 빠르고 정밀배합…품질 향상·손실 줄여 섬유질 짓이겨 부드럽게…생산성 향상 조사료 장비를 수입 공급하고 있는 ㈜원인터내셔널(대표 원유중)이 프랑스 KUHN사에서 개발한 CENTRAMIX16.2DS와 CENTRAMIX20VL 수직형 TMR 배합기를 공급하고 있다. KUHN사의 전기모터장착 수직형 배합기인 CENTRAMIX는 국내 유일한 올수입 완제품으로 전기모터와 전자제어모듈, 전자저울 모두를 100% 정품 수입한다. ICT 보조사업 신청이 가능하며 목장 구조에 따라 레일식, 고정식으로 설치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수직형 배합기 ‘CENTRAMIX20VL’는 주요 특징으로는 수직형 배합기로 수평형에 비해 메인터넌스가 편리하여 칼날 교체가 쉽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수직형 배합기 특성상 수평형 배합기에 비해 초반 베일과 후반부 베일의 배합 퀄리티가 일정하다는 장점이 있다. CENTRAMIX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충돌 없는 최적화 일체형 상품이며, 한곳에 응집될 수 있는 금속의 피로를 구조적 유연성을 통해 해결하고 있다. 주요 기능으로는 자동 오거 회전수 조절, 자동 역회전 기능, 결빙 방지 기능, 레
[축산신문 박윤만 기자] 국내 유일 바닥 4오거 배합기 제작기술 보유 농후사료 분리-사료터널 현상 완전 제거 과부하 따른 마모 최소화…안전성 확보도 TMR배합기는 버티컬 수직형부터 2오거, 3오거, 4오거 등 종류와 기능이 다양하다. 농가에서는 오거방식 사료배합기를 많이 사용하는데 오거는 파이프에 날개를 부착하여 가동함으로 구조가 간단하며 가격이 저렴한 반면 단점으로는 한 개의 오거로 되어 있어 대용량의 배합기를 제작할 수 없고 한쪽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터널 및 분리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많고, 배합속도가 느리다. 2오거형 배합기는 좌우에 오거가 달려 있는 구조이며 사료를 가운데로 이동, 상부로 밀어 올리며 절단 배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토출구는 양쪽 중앙에 있으며 장점으로는 원형베일, 볏짚이나, 조사료 절단이 가능하고 배합비 효능이 좋아 현재 한우농가와 젖소농가에 가장 많이 보급되어 있으며 속도가 빠르고 수리가 간단하다. 토출구를 양쪽으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단점으로는 사료의 과다 투입시 터널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사료를 중앙에서 밀어 올려 이동이 많으므로 스크루 및 하부바닥의 마모가 심해 배합기 바닥 수명이 단축될 수 있고
[축산신문 박윤만 기자] 남도(대표 하명신)는 2010년 조사료 장비 기초 설계를 시작으로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품질혁신으로 사각 압축 포장기, 랩핑 베일러 복합기, 사료 급이기, 승용 사료 청소차, 옥수수 베일러를 국산화했다. 남도는 개발과정에서 터득한 관련된 유압 제어기술, 전자컨트롤 제어기술까지 HMI(Human Machine Interface) 연구 개발해 조사료 생산기계 및 설비사업분야, 활용분야에서 다양하게 적용하고 있다. 사각 압축 베일 포장기고압축 사각 포장…다단 적재 용이 사각 압축 베일 포장기는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된 기계로서 옥수수 사일리지, TMR(F) 사료, 축분 퇴비, 톱밥, 폐기물 등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고압축 사각 형태라 적재면적이 작고 다단 적재가 가능해 저장과 운반할 때 편리하다.TMR(F)사료 및 조사료를 사각으로 압축해 베일링하면서 랩핑까지 동시에 작업 가능함으로써 기존의 원형베일러에서 작업을 할 수 없는 품목(자연 순환형 퇴비, 톱밥, 콩비지, 발효용 부산물)도 작업이 가능하다. 랩 결속장치 장착으로 네트 없이 랩으로만 결속 가능해 급이시 별도의 네트(그물망) 제거작업이 필요 없어 베일 생산시간, 비용 등 여러모로
[축산신문 박윤만 기자] 변수 많은 현장 반영구적 사용 초점 3개 특허·6개 특성 갖춘 특화 제품 ‘다스막’ 배합기 공급으로 인기몰이 대구특수기공(대표 함동엽)은 1977년에 창립, ‘다스막(DASMAC)’이라는 제품명으로 견인식, 고정식, 레일식 사료배합기를 공급하고 있다. 대구특수기공은 TMR배합기의 핵심은 기어박스와 스크루라 판단하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도록 완성도가 높고, 변수가 많은 현장에서 우수성을 인정받기 위한 노력으로 37개월간의 연구 개발 끝에 오늘의 배합기를 개발하게 됐다.‘대구특수기공사 장비를 활용해 좋은 성과를 얻어야 우리도 함께 성장할 수 있다’는 사명으로 완성도 높은 장비를 개발·생산해 축산농가에 보급하고 있다.배합기의 장비 완성도를 위해 조그마한 베어링 하나도 심혈을 기울인다는 함 대표. 그는 대구특수기공사의 다스막 TMR 장비의 가장 큰 장점으로 스크루 부분을 꼽았다. 일반 TMR 사료장비의 스크루는 3~4년 내지 길어도 5년 사용하면 교체해야 한다. 두 개 교체 시 비용도 약 1천만원이나 된다. 축산농가의 비용부담을 덜기 위해 스크루에 스테인리스를 붙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배합기의 성능과 내구성은 스크루에 있다는 함 대
[축산신문 박윤만 기자] 배합효율 ‘쑥’…비산먼지 발생 최소화 맛·영양 잡아…대사성질병 차단 기여 독일산 수직형 TMR 배합기 ‘사이로-킹’ 공급 과학시스템(대표 박만후)은 독일 사이로-킹(SILO-KING) 버티컬 수직형 TMR 배합기 공급에 나섰다. 박만후 대표는 “조사료와 곡물사료 고곡가 시대에 TMR 배합기만 바꿔도 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며 “현재 사용하고 있는 수평형 배합기는 풀을 으깨거나 제대로 섞이지 못하기 때문에 젖소와 한우에서 고른 영양 공급 부족과 각종 대사성 질병의 원인이 된다”며 버티컬 수직형 TMR 배합기 공급에 나선 이유를 설명한다. 버티컬은 내부구조 장치에 따라 분말 및 입자 원료 배합이 원활하게 골고루 잘 되며 한꺼번에 많은 양을 짧은 시간에 골고루 배합함으로써 사용 농가가 꾸준히 늘고 있다. 수직형 배합기는 수평형에 비해 건초와 사일리지 등 원료가 배합기에 투입되면 오거 밑 부분에 부착된 나선형 대형 고강도 칼날로 절단하고 위로 솟아내고 낙하하면서 비중에 의해 혼합되어 10∼15분이면 배합이 완료되어 수평식보다 2∼3배 빠른 배합시간을 단축시킨다. 짧은 배합시간으로 전력은 1/2∼1/3이 절전되며 대형 오거날이 섬유조직을 짓
[축산신문 박윤만 기자] (유)대도(대표 권봉주)는 2003년 창업, 제품 품질의 신뢰성과 고품질 유지를 위해 엄격한 품질경영을 실천하고 있다. 생산하는 제품으로는 사료배합기, 사료급이기, 발효기, TMR압축포장기, TMR사료공장 제조설비 등으로 꾸준한 연구와 실험을 통해 고품질, 고효율의 제품을 합리적인 가격으로 공급하고 있다. 1. 농가형2오거 타입 고정·견인·레일식차량형, 이송서 급이까지 원스톱 ▲고정식사료배합기=2-오거 타입의 강력한 절단 능력이 좋아 원형볏짚과 총체보리를 통째로 투입해도 무리 없는 배합 능력으로 배합과정 중 과부하 발생시 오거를 잠시 역회전하는 기능이 있다. 제품은 DDT130, DDT180, DDT200, DDT220, DDT250 등 용량에 따라 5개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견인형사료배합기=2-오거 타입의 제품으로 견인형 DDT130, 견인형 DDT180 2개 종류가 있으며 용량별, 규격별 다양한 크기로 제작 가능하다. 원료투입과 용도에 맞게 맞춤형 콘베어 로 제작, 부착 가능하며 트렉터에도 장착해 농가 내에서 견인하면서 배합 및 급이가 가능하다.▲레일식사료배합기=2-오거 타입의 고정식 배합기에 레일 위에 설치한 제품으로 용량
[축산신문 박윤만 기자] 절단·배합 더욱 부드럽게…중앙 구동식 텅스텐 코팅 칼날 탑재해 내구성 우수 이탈리아산 FMR 수직형 배합기 공급 ㈜신일(대표 윤용신)은 에프엠알(FMR·Total Mixed Ration/ 또는 Complete Mixed Ration)의 버티컬 수직형 배합기를 이탈리아에서 수입 공급하고 있다. FMR(에프엠알·Front Mid Engine Rear) 방식의 구동 방식이 기존 배합기와 달리 중앙에 있는 방식이다. 기어박스가 좀 더 중앙에 위치함으로써 더 부드럽고 원활하게 절단과 배합을 하기 위한 방식으로 TMR배합에서 절단과 배합 구동이 많은 힘이 필요한 장비와 압출 성형 배합기에서 사용하는 구동전달 방법이다. 공급되는 FMR 사료배합기는 기어박스와 오거 그리고 배합통 본체는 이태리에서 제작됐으며 80년 경험의 이태리 전문 기어회사의 속도제어 2단 기어, 수직 웜기어를 사용했다. 오거와 배합통 본체는 스웨덴 하독스 계열의 내마모 강판을 사용했으며, 제작은 이탈리아에서 했다. 배합기의 성능을 좌우하는 절단 배합 칼날은 100년간 농업용 칼날을 생산해온 이탈리아 회사의 텅스텐 코팅 칼날을 사용해 내구성을 향상시켰다. 배합기를 제어할 수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