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급 증가 속 연말 수요 확대 변수…보합 시세 전망
송아지 산지가격은 입식 수요 위축으로 약보합세
2025년 10월 한우 시세는 소비자 물가 상승과 경기침체로 인한 소비위축에도 불구하고 군 급식, 학교 급식, 가을 단풍놀이 여행객 증가, 한우 먹는 날 한우 할인판매 행사 및 수요 물량 준비 등으로 인한 수요 증가와 도축두수 감소로 인한 공급량 감소의 영향으로 전월대비 약강세를 보였다.
성별로 전월대비 경락가격 증감율을 보면 암소 103.5%, 수소 95.0%, 거세 101.7%로 전월대비 암소 3.5%, 거세 1.7% 증가하였으나, 수소는 5.0% 감소하였다.
육질등급별로 보면 거세는 1+등급과 1등급은 약강세를 보였으나, 1++등급과 2등급은 보합세, 3등급은 약보합세를 보였다. 암소는 전등급이 약강세를 보였다.
6개월령~7개월령 송아지 산지시세를 보면 암송아지와 수송아지 모두 거래두수 감소에도 불구하고, 입식 수요 감소의 영향으로 전월대비 약보합세를 보였다.
쇠고기 공급적인 측면을 보면 10월 한우 도축두수는 5만9천727두로 전월대비 47.2%로 52.8% 감소하였으며, 전년동월대비도 71.9%로 28.1% 감소하였다.
성별 경락두수 비율은 암소 59.7%, 수소 42.9%, 거세 65.6%로 전월대비 거세는 1.3% 증가하였으나, 암소는 3.5%, 수소는 6.8% 감소하였다. 암소 도축률은 44.1%로 번식의향 증가의 영향으로 전월대비 2.4% 감소하였으며, 전년동월대비도 1.7% 감소하였다.
정육 생산량은 전월대비 47.2%로 52.8% 감소하였으며, 전년동월대비도 73.7%로 26.3% 감소하였다. 10월 쇠고기 수입량(검역기준)은 3만천110톤으로 전월대비 83.4%로 16.6% 감소하였으며, 전년동월대비도 77.8%로 22.2% 감소하였다. 쇠고기 수입량 중 냉장육 점유율은 19.8%로 전월대비 3.2% 감소하였으며, 전년동월대비도 0.4% 감소하였다.
국가별 수입량은 전월대비 뉴질랜드, 우루과이, 덴마크는 증가하였으나, 그 외의 국가는 감소하였으며, 부위별 수입량은 전월대비 양지는 증가하였으나, 그 외의 부위는 감소하였다. 10월 쇠고기 수요 동향을 보면 군 급식, 학교 급식, 가을 단풍놀이 여행객 증가, 한우 먹는 날 한우 할인판매 행사 및 수요 물량 준비 등으로 증가하였으며, 거세는 안심, 등심, 채끝은 수요가 감소하였으나, 목심은 유지, 그 외의 부위는 증가하였다. 암소도 안심, 등심, 채끝, 특수부위, 목심, 설도, 양지 등은 감소하였으나, 그 외의 부위는 증가하였다.
향후 1개월(`25년11월20일~ 12월20일)간 공급적인 측면과 수요적인 측면을 살펴보면, 공급적인 측면은 도축두수는 10월대비 증가하여 국내산 쇠고기 공급량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쇠고기 수입량도 10월대비 유지 또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요적인 측면은 군 급식, 학교 급식, 가을 단풍놀이 여행객 증가, 유통업체 설 선물세트 준비, 연말연시 수요 물량 준비 등으로 인하여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1개월간(`25년11월20일~ 12월20일) 한우 거세우 경락가격은 10월대비 보합세 내지 약보합세가 예상되며, 6~7개월령 암송아지와 수송아지 가격도 입식 수요 증가에도 불구 하고, 공급량 증가의 영향으로 10월대비 보합세 내지 약보합세가 예상된다.
<소우마음 이은주연구소 대표>